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예측불가 트럼프 이렇게 설득…블로킹∙위협∙아첨 3종세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 마련된 미국프로풋불(NFL) 챔피언 ‘필라델피아 이글스’ 팀 환영 행사장에 들어서고 있다. AP=연합뉴스
‘블로킹, 위협, 아첨 등’.
즉흥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리더십 스타일 때문에 그의 참모들이 어리석거나, 위험하거나, 되돌릴 수 없다고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폐기하기 위해 동원하는 갖가지 기법이라고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가 28일(현지시간) 소개한 것들이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측근과 내각,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종종 ‘보스’(트럼프 대통령)의 무모하거나 현실성 떨어지는 발상들을 말리기 위해 몇 가지 설득 전략을 쓰고 있다. 악시오스는 “현재의 무역분쟁이 그런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참모 등은 트럼프가 세금을 내리고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글로벌 무역과 투자를 미국에 유리한 쪽으로 영리하게 재편했다면 미국은 진정한 황금기의 문턱에 서 있을 수 있다고 믿으며, 예상치 못한 ‘충격’이 없었다면 폭발적 성장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악시오스는 “하지만 참모들이 가장 우려했던 충격은 바로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었다”며 “그의 즉흥적인 전략과 고율 관세는 세계 경제의 거의 모든 측면을 놀라게 했다”고 짚었다.



라이벌 따돌리고 트럼프와 ‘독대’

백악관 참모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을 바꾸기 위해 매일같이 달래고, 부드럽게 유도하거나, 아첨을 하는 등의 기술을 부리는 것은 그래서다. 악시오스가 꼽은 첫 번째 기술은 ‘블로킹’이다. 일례로 무역전쟁에서 온건파를 대표하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등은 강경파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ㆍ제조업 담당 고문의 동선을 파악해 그가 없을 때 트럼프 대통령과 독대하기도 했다.

‘위협’ 전략도 곧잘 쓰인다. 두 번의 대선에서 승리하고 총격 암살 시도를 두 차례나 극복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 확신이 강해 설득을 하기가 상당히 어렵지만 두려움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라고 악시오스는 짚었다. 지난주 월마트, 타깃, 홈디포 등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 CEO들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심각한 경제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들려주도록 한 것이 대표인 사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프로풋불(NFL) 챔피언 ‘필라델피아 이글스’ 팀 환영 행사를 마친 뒤 제프리 루리 팀 구단주(가운데)와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언어 쓰는 ‘미화’…TV도 활용

트럼프 대통령을 움직이기 위해 최근 점점 더 자주 사용하는 기술은 ‘미화’다. “우리는 중국을 고립시키려 한다” “천재적인 협상을 진행하려 한다” 등 트럼프 방식의 언어를 써서 신선하고 현명하게 느껴지도록 하되 절대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고 느끼게 만드는 방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애청하는 TV 프로그램에 그가 존경하는 CEO 등을 출연시켜 필요한 바른말을 하도록 만드는 것도 ‘전통적’이지만 여전히 ‘통하는’ 기술이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즐겨 보는 폭스뉴스에서 관세 관련 뉴스가 많이 나오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라고 전했다.

준비가 필요하긴 하지만 직설적인 조언을 할 때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JD 밴스 부통령과 여러 차례 회의를 한 뒤 ‘상호 관세 90일 유예’를 결정한 것,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중국과 무역이 전혀 없다면 관세 수입도 전혀 얻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145%의 대중(對中) 관세 인하를 언급하기 시작한 것 등이 그런 예다. 와일스 비서실장은 충성파 일색인 백악관의 ‘내부자들’을 피해 대기업 CEO, 자동차 회사, 주요 소매업체 등과의 셀 수 없는 미팅으로 트럼프 일정을 가득 채우고 있다고 한다.

 수지 와일즈 백악관 비서실장(오른쪽)이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언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생존해야 했던 1기와 다르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 들어 강화된 자신의 ‘독주 리더십’을 한껏 즐기는 듯하다. 그는 이날 공개된 시사잡지 ‘애틀랜틱’과의 인터뷰에서 “첫 번째 임기 때는 부패한 사람들이 있어서 국가를 운영하며 생존해야 했다”며 “(하지만 집권 2기는) 내가 하는 일을 생각하면서 많이 즐기고 있다. 지금은 국가와 세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헌법이 금지하고 있는 대통령 3선 도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그것은 (규칙에 대한) 큰 파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저 파열을 시도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내가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며 여운을 남겼다.

이번 인터뷰는 최근 미국의 예멘 내 친이란 후티 반군 공습 정보를 공유하는 채팅 앱 ‘시그널’에 실수로 초대된 사실을 폭로해 트럼프 행정부 보안 시스템의 구멍을 지적한 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의 진행으로 이뤄졌다.



김형구([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