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 "韓, 대선전 협상 해결 의지…그걸로 선거운동 하려 해"

베센트 장관은 29일 오전 미 백악관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과 인도ㆍ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의 협상 타임라인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그들은 협상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한국과의 협상은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일본과도 상당한 대화를 나눴다”고 답했다.
━
“韓, 문제 해결 뒤 선거운동 의지 강해”
이는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2+2 협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한미 양국이 상호 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한 것과는 다소 결이 다르다. 당시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며 사실상 6월 대선 이후 들어서는 차기 정부에서 미국과의 무역 협정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었다. 현지 외교 소식통은 “베센트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경제 성과를 홍보하기 위한 브리핑이었던 만큼 실제 진행 상황보다 긍정적으로 묘사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첨예한 ‘관세전쟁’을 치르는 중국과의 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누가 누구와 대화하는지는 얘기하지 않겠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중국의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 관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중국은 천만 개의 일자리를 순식간에 잃을 수 있고 관세가 인하되더라도 500만 개의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앞으로 몇 주 동안 18개국과의 중요한 무역 관계를 다루며 일단 중국은 제쳐두고 17개국과 진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
첫 타결국 인도 될 가능성…“매우 근접”

━
美상무부, 자동차 부품관세 2년간 완화
이 당국자에 따르면, 미국에서 자동차를 완성해 미국에서 판매한 업체가 그 기록을 상무부에 내면 자동차 가격 15%에 해당하는 금액의 ‘크레딧(credit)’을 받게 되는데, 업체는 향후 자동차 부품을 수입할 때 이 크레딧만큼 부품 관세를 ‘상쇄’(offset)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업체들이 (차에 들어가는) 부품의 15%는 관세 없이 외국에서 가져와 자동차에 넣을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당국자는 설명했다.
이 정책은 향후 2년간 실시될 계획이다. 첫해에는 크레딧 인정 비율이 자동차 가격의 15%인데 이는 현행 25%인 부품 관세를 3.75%포인트(0.25x0.15=0.0375) 낮추는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두 번째 해에는 크레딧 인정 비율이 10%로 낮아진다.
고위 당국자는 그간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에 완전한 공급망 구축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호소해 이번 정책을 시행한다면서 “2년은 충분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 관세는 내달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 적용된다.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 관세는 오는 5월 3일부터 자동차 부품으로 확대된다.
김형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