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경기도, '선감학원' 유해 발굴 완료…67기에서 추가 유골 수습

선감학원 공동묘역서 수습된 유해·유품. 경기도 제공

경기도는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 사건' 희생자 유해 발굴에서 133기의 분묘를 추가 확인했으며 이 가운데 67기에서 유해를 수습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8월부터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산 37-1 선감학원 공동묘역(2천400㎡)에 대한 발굴조사를 벌였으며, 이날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결과를 발표했다.

유해는 치아와 대퇴골 등 모두 537점이며 단추 등 유물·유품 573점도 수습됐다.

도는 유해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 유전자 감식, 화장, 봉안 등의 절차를 오는 8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2022년 9월과 2023년 10월 2차례에 걸쳐 시굴한 35기와 경기도 발굴 133기를 합하면 선감학원 공동묘역의 분묘는 모두 168기가 된다.
2023년 10월 25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선감학원 유해 매장 추정지에서 열린 유해발굴 현장 언론공개 설명회에서 한 피해자가 유해가 발굴된 장소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진실화해위는 발굴한 유해 275점과 유물·유품 57점을 지난해 6월 경기도에 인도했다.

최현정 경기도 인권담당관은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 유해는 대부분 10대 아동으로 추정된다"며 "남은 절차도 책임 있게 마무리해 국가권력으로부터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실추된 명예를 온전히 회복시켜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부터 안산 선감도에 설립·운영된 시설로, 8~18세 아동·청소년들을 강제 입소시켜 노역과 폭행, 학대, 고문 등 인권을 짓밟은 수용소다.

1946년 경기도로 관할권이 이관돼 1982년 폐쇄될 때까지 인권침해 행위가 지속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원생 다수가 구타와 영양실조로 사망했고, 섬에서 탈출을 시도한 834명 중 상당수는 바다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2022년 10월 이를 공식 사과한 경기도는 이후 자체적으로 피해자들에게 500만원의 위로금과 월 20만원의 생활안정지원금(생계보조수당) 등을 지급하고 있으며 지난 3월 말 기준 선감학원 피해 지원자는 모두 269명에 달한다.



정재홍([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