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1분기 클라우드 매출 33%↑…"수요 강해 성장 지속 전망"(종합2보)
'애저' 등 실적 월가 예상치 상회…전체 매출·순이익도 예상치 넘어 "다음 분기 애저 매출 성장률도 최대 35%"…시간외 주가 약 7% 급등
'애저' 등 실적 월가 예상치 상회…전체 매출·순이익도 예상치 넘어
"다음 분기 애저 매출 성장률도 최대 35%"…시간외 주가 약 7% 급등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태종 임미나 특파원 = 마이크로소프트(MS)가 월가의 예상치를 넘어서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7% 가까이 급등했다.
MS는 1분기(1∼3월)에 700억7천만 달러(99조8천497억원)의 매출과 3.46달러(4천930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 업체 LSGE가 집계한 월가 분석가들의 평균 예상치 매출 684억2천만 달러와 주당 순이익 3.22달러를 각각 상회하는 수준이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 증가했고, 순이익은 258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8% 늘었다.
사무용 소프트웨어 오피스 구독 및 링크트인을 포함하는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부문 매출은 10% 증가한 299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리트어카운트에서 조사한 분석가들의 평균 예상치는 295억7천만 달러였다.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은 21% 성장한 267억5천만 달러의 매출로 시장 예상치(261억6천만 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애저 매출은 33% 증가해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조사한 예상치 30.3%를 뛰어넘었다. MS는 이 중 절반 정도(16% 포인트)는 AI와 관련된 성장이라고 설명했다.
윈도, 검색 광고, 기기 및 비디오 게임 콘솔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팅 부문 매출은 6% 늘어난 133억7천만달러로, 예상치(126억6천만 달러)보다 높았다.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클라우드 사업에 관해 "모든 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가속하는 것을 봤다"며 "다양한 기업들이 애저에서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미 후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애저 부문에서 다음 분기 매출 성장률이 고정 환율 기준으로 34%에서 35%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서비스 포트폴리오에 대한 강한 수요에 힘입은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인공지능(AI)을 제외한 서비스 부문에서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MS의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 규모로 인식되는 자본 지출은 214억 달러로 집계돼 2년여 만에 첫 감소세를 보였다.
후드 CFO는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새 회계연도에 자본 지출이 계속 증가하겠지만, 속도는 느려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 "AI 서비스 부문에서 계획대로 데이터센터 용량을 늘리고 있지만, 수요가 조금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따라서 6월 이후 일부 AI 용량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실적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나델라 CEO는 관세 정책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말을 아끼면서 오히려 이를 자사의 사업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관련 질문에 "소프트웨어가 인플레이션 등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가장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라는 주장에 동의한다면, 우리는 그 부분에서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한편 MS는 지난 1분기 주요 AI 파트너인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조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MS는 오픈AI가 새로운 컴퓨팅 용량을 필요로 할 때 우선 협상권을 갖지만, MS가 항상 이를 제공해야 하는 의무는 없다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지난 1월 미국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업인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와 함께 향후 4년간 미국에 5천억 달러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AI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0.31% 오른 MS 주가는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6.93% 급등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미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