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파병 인정 北, 러시아 잇는 다리 착공…보상 받을 인프라 구축 속도

북한과 러시아가 양국을 잇는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을 개최했다. 양국이 북한군 파병을 공식 인정한 가운데 북한이 원하는 반대급부로 물자 교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인프라 확충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전날인 30일 북한 나선과 러시아 하산에서 '북러 국경 자동차 다리 건설 착공식'이 동시에 개최됐다고 1일 보도했다.   노동신문=뉴스1


"쌍무협력 실질적 담보 마련"

1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전날 착공식 소식을 전하면서 지난해 6월 북·러가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북·러 신조약)에 따라 "교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신문은 "쌍무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적 조치들이 적극 취해지고 있는 속에 조로(북·러) 국경 자동차 다리 건설이 착공되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제협조의 중요한 하부구조를 축성 보강하고 인원 내왕과 관광, 상품유통을 비롯한 쌍무협력을 다각적으로 활성화해 나갈 수 있는 실질적인 담보를 마련하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북한과의 다양한 협력은 대부분 제재에 의해 금지되지만, 이를 개의치 안하고 북·러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할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셈이다.

이날 착공식은 북한 나선과 러시아 하산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박태성 북한 내각총리와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가 각각 평양과 모스크바에서 화상으로 참여했다. 박 총리는 두만강 자동차 다리가 "새로운 전면적 발전 궤도 위에 올라선 두 나라 사이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만년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미슈스틴 총리도 이를 북·러 간 "평화와 친선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박태성 북한 내각총리가 지난달 30일 두만강 자동차 다리 착공식에 화상으로 침석한 모습. 노동신문=뉴스1

현장에는 정명수 내각부총리, 북·러 정부 간 무역경제 및 과학기술협조위원회의 북한 측 위원장인 윤정호 대외경제상, 김경준 국토환경보호상, 김정규 외무성 부상 등이 자리했다.

이와 관련,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내각부총리, 대외경제상 등이 참석한 것으로 볼 때 러시아 극동개발과 연계해 나선 지역을 일종의 개방 구역로 설정하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보인다"며 "당장 자동차 다리를 통한 인적·물적 교류 규모가 크지는 않겠지만 나선 개방과 연계된다면 상승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혈맹' 부각하며 조약 후속 조치

앞서 지난해 6월 북·러 평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850m 길이의 두만강 자동차 다리를 내년 12월 31일까지 세우기로 합의했다. 현재 북·러를 육로로 연결하는 다리는 두만강 철교라 불리는 '우정의 다리' 뿐이다. 이는 북한과 중국을 잇는 다리가 17개에 이르는 것과 비교된다.

급속히 밀착하고 있지만, 북·러 교류가 북·중 교류를 단기간에 따라잡기는 쉽지 않을 거란 관측도 그래서 나온다. 통일부 당국자는 "중·북 간 물류 인프라와 비교해 러·북 간 인프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며 "향후에도 러·북 관계가 중·북 관계를 대체 혹은 의미 있는 수준으로 보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북한 나선과 러시아 하산에서 동시에 진행된 '북·러 국경 자동차 다리 건설 착공식'. 노동신문=뉴스1

지난달 말 러시아와 북한이 잇따라 북한군 파병 사실을 공식 인정한 후 양국은 조약을 근거로 한 '혈맹' 관계임을 적극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추진하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북한이 더 큰 반대급부를 노리고 전쟁 개입 수위를 높일 여지도 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달 30일 "북한은 2차례에 걸쳐 총 1만 5000명을 러시아에 파병해 사망 600명을 포함해 총 4700명의 사상자가 나왔다"며 "3차 파병은 가시적 움직임은 없지만, 가능성은 있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했다.

오는 9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전승절)에 최용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대표단장으로 참석할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현지에서 이뤄질 고위급 회담 결과도 주목된다.

변상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당과 정부의 고위급 인사 교류, 청년 단체 등 인적 교류를 비롯해 다방면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며 "북한은 러시아의 전후 복구 사업에 참여하거나 외교·경제·과학기술 등 전반적인 협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박현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