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꿈의 OLED' 눈앞에…LGD, 청색 인광 OLED 패널 제품화 검증 성공

경북 구미시 진미동에 위치한 LG디스플레이 건물 전경. 구미=김정석 기자
LG디스플레이가 ‘꿈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불리는 청색 인광 OLED의 상용화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청색 인광 OLED가 실험실 단계를 넘어 실제 양산이 가능한 제품화 단계까지 나아간 건 이번이 처음이다.

1일 LG디스플레이는 양산 라인에서 청색 인광 OLED 패널 제품화 성능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OLED 패널의 발광 방식은 크게 형광과 인광 두 가지로 나뉜다. 형광은 전기가 들어오면 바로 반응해 빛을 내 방식이 단순하지만, 발광 효율은 25%에 그친다. 반면 전기를 받은 뒤 잠시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빛을 내는 방식인 인광은 기술 난이도는 높지만 발광 효율이 100%에 달한다. 발광 방식을 형광에서 인광으로 변경하기만 해도 전력 소모가 4분의1 수준으로 줄어든다.

문제는 빛의 삼원색(적·녹·청) 중 청색의 경우 인광으로 구현하기가 까다롭다는 점이다. 적색과 녹색 인광이 상용화된 지 20여 년이 지났음에도 청색은 인광으로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세 가지 색 중 파장은 가장 짧은데 빛의 세기는 매우 세서 이 에너지를 견딜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제품화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LG디스플레이는 아래층에는 청색 형광 물질을, 위층에는 청색 인광을 쌓는 하이브리드 투 스택 탠덤(2 Stack Tandem) 구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형광 방식의 장점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한편 인광 방식의 장점인 저전력을 더해 전력 소모량을 15%가량 절감했다.

LG디스플레이는 미국 유니버셜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과 함께 제품화 검증을 마쳤고, 관련 기술 특허를 한국과 미국에 모두 단독 출원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 기술이 적용된 OLED 패널은 1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 'SID 2025'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꿈의 OLED를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 불리는 청색 인광 제품화 검증 성공은 차세대 OLED로 향하는 혁신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