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빚투까지? 지난달 가계대출 5조 불어나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가량 불어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으로 주택 거래량이 늘어났던 여파가 시차를 두고 나타났다.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빚투(빚내서 투자)’가 증가한 영향도 있다.1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3월 말보다 5조원 넘게 늘었다. 지난달 말일(30일) 신용대출 상환 등 실적이 집계되지 않았지만 금융당국은 이를 반영하더라도 증가 폭이 5조원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1월(-9000억원), 2월(4조2000억원), 3월(4000억원)을 거치면서 증가세가 둔화하는 듯했으나 지난달 들어 추세가 바뀌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신용대출이 동시에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증가 흐름에 다시 불이 붙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한 건 은행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2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2조3253억원으로, 3월 말(738조5511억원)보다 3조7742억원 늘었다. 5대 은행 기준으로 지난해 9월(5조6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5대 은행의 주담대는 지난달 들어 29일까지 2조7073억원 불어났다. 이 기간 신용대출은 1조1046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은 지난해 11월(2442억원)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스피와 미국 주식 등의 변동성이 모두 확대하면서 저점을 노리고 매수하려는 빚투 움직임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올해 하반기엔 지난해와 같은 ‘대출 절벽’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경상성장률(물가 상승분을 포함한 경제성장률) 이내에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한다는 방침에 따라 은행별로 올해 가계대출 한도를 정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성장률 전망 하향이 불가피하다 보니 가계대출 한도 역시 줄어들 예정이다.
한편 금리가 내려가면서 시중은행 예금에선 지난달 26조원에 가까운 돈이 빠져나갔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 한 달 새 3조3342억원 줄었다. 요구불예금 잔액 역시 같은 기간 22조4615억원 감소했다. 시중은행 예금금리가 연 2%대(우대금리 포함한 최고 금리 기준)로 떨어지자 주식·코인 등 다른 투자처로 자금이 옮겨간 것으로 분석된다.
정진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