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장정 넷이 들어도 꿈쩍않고…산불속 절 지킨 부처님

하늘에서 내려다본 의성 고운사. 가운데 보이는 전각이 대웅보전이다. 바로 뒷산이 다 탔는데도 대웅보전은 기와 한 장도 다치지 않았다.
봄이 되면 산과 들은 연둣빛 신록으로 눈부시다. 그러나 올봄 경북의 산야는 잿빛이다. 지난 3월 최악의 산불로 나무고 풀이고 죄 타버려서다. 특히 의성 고운사는 전소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부처님 오신 날이 코앞인데, 스님들 낙담이 얼마나 클까 싶어 고운사를 찾았다. 고운사 들르는 김에 화마에서 용케 살아난 안동의 명소들도 두루 돌아봤다.

잿더미만 가득한 곳으로 무슨 여행이냐고?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다. 지금 경북은 무엇보다도 격려가 필요하다. 국밥 한 그릇만 사 먹고 돌아와도 그들에겐 힘이 된다. 여행은 때때로 누군가를 위로해주는 일이기도 하다.

대웅보전 불상만 옮기지 못해 방염포
고운사 일주문도 피해를 보지 않았다.
고운사는 큰 절이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안동 봉정사와 영주 부석사가 고운사 말사다. 고운사는 그 정도로 큰 절이다. 신라 신문왕 원년(681)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죽어서 신선이 되었다는 고운(孤雲) 최치원(857~?)과도 인연이 있어 이름이 ‘高雲寺’에서 지금의 ‘孤雲寺’로 바뀌었다.

고운사가 전소했다기에 잿더미만 널브러져 있는 줄 알았다. 아니었다. 일주문이 예의 그 모습 그대로 서 있었다. 등운산 고운사(騰雲山 孤雲寺). 우리 불교는 산사를 호명할 때 먼저 산을 부른다. 의성 고운사가 아니다. 등운산 고운사다.

일주문 지나 경내로 드니 화마로 깨친 범종 주변으로 온통 잿더미다. 폐허가 된 옛 가람들 뒤로 오색단청 화려한 가람 몇 채가 눈에 들어왔다. 고운사 부주지 정우스님이 불바람 불던 그 날 이야기를 들려줬다.

고운사 대웅보전 불상. 장정 서너 명도 옮기지 못했다.
“3월 22일 시작한 불이 사흘 뒤 고운사를 덮쳤어요. 그날 오후 불이 산을 넘어오는 게 보였어요. 모두 대피하라고 명령이 내려졌어요. 불당의 불상들을 하나씩 옮기는데, 세상에 대웅보전의 부처님은 안 움직이는 거예요. 장정 네댓 명이 붙었는데 꼼짝도 안 하시는 겁니다. 어쩔 수 없어 방염포로 급히 싸고 피신했어요. 이튿날 돌아와서 보니, 대웅보전이 말짱한 겁니다. 뒷산이 새까맣게 탔는데도 기와 한 장 깨지지 않았습니다.”

고운사는 이번 산불로 전각 30개 동 중 21개 동이 전소했다. 재로 변한 전각 중에 보물로 지정된 연수전과 가운루도 있다. 그러나 석가여래를 모신 대웅보전과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 산신령을 모신 산신각은 화마를 피했다. 세 가람 모두 신이 머무는 공간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특히 고운사 명부전은 의미가 각별한 곳이다. 한국 불교에서 고운사는 ‘지장 성지’로 꼽히는 절집이어서다. 명부전은 기와 일부가 불바람에 날아갔는데도 타지 않았다.

화마 덮친 산사도 부처님 오신 날은 기려야 해서 대웅보전 아래 연등이 걸렸다. 정우스님에게 부처님 오신 날 행사를 조심스레 물었다.

“이재민 돕기 모금 운동을 할 겁니다. 주지 등운스님의 특별한 말씀이 있었습니다. 고운사 복원도 중요하지만, 이웃 주민의 피해가 너무 큽니다. 부처님도 이해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묵계서원, 5월 첫 주말부터 체험 행사
안동 만휴정. 산불이 만휴정 주변 산과 계곡을 통째로 덮었는데도 기적처럼 살아남았다.
고운사에서 직선거리로 10㎞ 떨어진 곳에 동화작가 권정생(1937∼2007)이 살던 마을이 있다. 행정지명은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산불은 이 마을도 덮쳤다.

선생이 살던 집은 무사했다. 집 바로 뒤편 빌뱅이언덕은 풀 나무 모두 불타 재만 남았는데, 쓰러져 가던 흙집만은 불을 피했다. 흙으로 쌓은 집이어서 불을 이길 수 있었나 보다. 하루 만에 민둥산이 돼 버린 이 언덕에 유해가 된 선생이 잠들어 있다. ‘선생은 화장을 두 번 하셨네.’ 불길 견뎌낸 흙집이 대견해 실없는 농담 남기고 언덕에서 내려왔다.

안동 권정생 선생 생가. 생가 바로 뒤 언덕은 새까맣게 탔지만, 생가는 무사하다.
자동차로 한참을 달려 만휴정을 찾았다. 지난 산불 때 오보 소동이 있었던 곳이다. 전소했다는 뉴스가 난 만휴정은 이튿날 티끌 하나 다치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만휴정(晩休亭)은 조선 시대 문신 김계행(1431~1517)이 낙향한 뒤 말년을 보내려고 계곡에 지은 정자다. 깊은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폭포가 떨어지고 그 폭포 위 오른편 반석에 그림처럼 만휴정이 들어앉아 있다. 아는 사람만 찾아가는 비경이었는데, 2018년 TV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 나온 뒤 안동의 대표 명소로 거듭났다.

만휴정 올라가는 길은 막혀 있었다. 산사태 위험이 있어 접근을 통제했다고 한다. 만휴정은 안동 김씨 문중의 재산으로, 현재 ‘미래문화재단’이 위탁 관리 중이다. 미래문화재단 정주임 대표가 길을 열어줬다.

안동 묵계서원. 담장 밖 소나무는 탔으나 담장 안 서원은 말짱하다.
만휴정은 주변 산과 함께 ‘만휴정 원림(苑林)’이라는 이름으로 명승으로 지정돼 있다. 원림은 제 숲처럼 빌려 쓴 집 밖의 숲을 이른다.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동양 정원의 특징이 원림에 담겨 있다.

이 원림이 온통 잿빛이다. 새까맣게 타지 않았어도 불에 말라 잎이 누렇게 뜬 소나무가 천지다. 아무리 방염포를 씌웠다 해도 이 낡은 정자가 화마를 어떻게 견뎌냈는지 경이로울 뿐이다.

만휴정은 산불조심기간이 끝나는 오는 15일까지 출입을 통제한다. 이후 개방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대신 만휴정 인근의 묵계서원은 5월 첫 주말부터 서원 체험 프로그램을 재개한다. 묵계서원도 기적적으로 화마로부터 살아남았다.





손민호([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