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 ‘미 25% 관세’ 발효…“1대당 561만원 비싸진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공식 발효되면서 국내 업체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해졌다. 이번 자동차 부품 관세가 미치는 파장이 수입 완성차 관세보다 더 클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증가했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산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로, 금액으로는 135억 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완성차 업계는 이 중 60~70%가량이 현대차·기아 등 국내 완성차 기업에 공급된 것으로 보고 있다.
완성차 부품·타이어 업계는 관세 충격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해 생산 물량 조정과 공급망 다변화 등 대응책을 찾고 있다. 현대모비스를 비롯해 한국타이어와 금호타이어 등 미국 내 공장이 있는 완성차 부품·타이어 업체들은 미국 판매 물량을 최대한 많이 선적하는 동시에 현지 공장 생산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차량 부품 관세 부과로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현지 생산을 늘려 관세 여파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거나 공급망 변화를 통해 대체 시장을 개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부품 관세가 기존 수입차 관세보다 미국 자동차 산업에 더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3일 CNN 등 미국 언론은 “이번 부품 관세가 기존의 수입차 관세보다 더 크게 산업을 뒤흔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트럼프 정부가 미국에서 조립된 자동차에 대해 부품 관세 비용을 일부 환급해 주기로 한 조처를 고려하더라도 이번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은 차량당 평균 약 4000달러(약 561만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박영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