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백요리사' 대상, '폭싹' 4관왕…치열했던 백상 수상자들 누구

방송, 광고, 유통계를 휩쓸었던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은 5일 오후 8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D홀에서 신동엽, 수지, 박보검의 진행으로 펼쳐진 ‘제61회 백상예술대상 with 구찌’에서 대상에 호명됐다. 제작사 스튜디오슬램 윤현준 대표는 “예능으로 대상을 받게 되어 감회가 남다르다. 한국 예능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영화 부문 대상인 홍경표 촬영감독은 다른 일정으로 불참했다.

4관왕 ‘폭싹 속았수다’
‘하얼빈’의 제작자 하이브미디어코프 김원국 대표는 영화 작품상 트로피를 받고 “영화관 사정이 정말 힘든데 앞으로 더 열심히, 멋진 극장용 영화를 만들어서 극장에 활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예능 작품상에는 어플 없는 여행으로 화제를 모은 ‘풍향고’(유튜브 채널 뜬뜬)가 호명됐다. 출연자인 유재석은 손을 흔들며 환호했다. 교양 작품상은 ‘스페셜-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SBS)가 받아갔다.
이날 ‘폭싹 속았수다’는 4관왕을 차지했다. 임상춘 작가는 방송 부문 극본상을 받았다. 대리 수상한 김원석 감독은 “기획 당시 작가님은 ‘부모님께 전화 한 통 드리고 싶고, 우리 애기들 더 안아주고 싶은 드라마면 된다’고 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되어 굉장히 기뻐하실 것 같다. 이 상에 들뜨지 않고 조용히 글을 쓰는 사람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폭싹 속았수다’, ‘정년이’, ‘옥씨부인전’, ‘중증외상센터’ 등 인기작에서 활약한 배우들이 몰려 가장 치열한 부문으로 꼽혔던 방송 부문 남녀 조연상 트로피는 ‘폭싹 속았수다’가 휩쓸었다. ‘학씨 아저씨’ 최대훈은 “어린이날 선물 중에 가장 좋은 선물이 될 것 같다. 위로를 주고 싶어 연기를 했는데 내 마음에 만선을 이루고 위로를 받았다. 힘들 때마다 ‘학씨!’를 외쳐달라”며 눈물을 삼켰다. 시상자로 왔다가 2년 연속 조연상을 받은 염혜란은 “여기 우리 애순이들(아이유, 김태연)이 있는데, 애순아 엄마 상받았다. 부장원 아니고 장원이다. 그리고 나의 광례 어머니 감사하다”며 눈물을 보였다.

수상 예상 못한 배우들

‘SNL코리아’와 자신의 유튜브 채널 ‘핫이슈지’에서 다양한 캐릭터로 종횡무진한 이수지는 여자 예능상 트로피를 차지했다. 스스로를 “웃길 때가 가장 예쁜 사람”이라 소개한 그는 “욕을 먹을 때도 있지만 웃음으로 위로를 받았다는 분들이 있어 힘을 얻는다. 괜찮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웃음을 만들고 있는 동료 선후배 모두와 상을 나누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도연은 영화 ‘리볼버’로 여자 최우수 연기상을 받고 “오승욱 감독님이 감독상을 받은 것으로 됐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받았다”며 손으로 입을 가리며 어쩔 줄 몰라했다. 또 “오 감독님이 새로운 얼굴을 찾아주겠다고 했는데, 그 덕분에 이 자리에 있을 수 있는 것 같다”며 동료 배우와 스태프, 가족에 영광을 돌렸다. 영화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에는 ‘파일럿’의 조정석이 호명돼 “상을 받고 싶었으나 기대는 하지 않았다. 도전과 같은 작품이었는데 그 도전을 인정받은 기분”이라며 놀라워했다.

인상깊은 소감들

영화 부문 조연상은 수현(보통의 가족), 유재명(행복의 나라)이 차지했다. 유재명은 “먼저 세상을 떠난 친구를 추억하겠다”며 영화를 함께 찍은 故이선균을 떠올렸다. 남녀 신인 연기상에는 정성일(전,란), 노윤서(청설)가 호명됐다. 극중 수어 연기를 했던 노윤서는 수어 인사로 자신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정성일은 “어린이날에 어른이 상을 받았다. 신인답게 열심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감독상은 오승욱(리볼버), 신인 감독상은 ‘장손’을 만든 오정민 감독에 돌아갔다.
영화 부문 각본상(시나리오상) 트로피는 ‘전,란’의 신철·박찬욱에 주어졌다, 박찬욱 감독은 “이 작품과 우리나라 정치 상황을 보며, 용감하고 현명한 국민이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한다는 그런 공통점이 있다고 느꼈다”면서 ”위대한 국민 수준에 어울리는 리더를 뽑아야 할 때가 다가오고 있다. 국민을 무서워할 줄 아는 사람을 뽑아야겠다”며 다가오는 대선을 언급했다. 예술상은 영화 ‘전,란’의 음악감독 조영욱과 드라마 ‘정년이’ 음악을 맡은 장영규에 돌아갔다.

이외에도 추영우(옥씨부인전), 채원빈(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이 방송 부문 남녀 신인 연기상을 받았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의 송연화 감독은 연출상을 수상했다. 팬 투표로 진행된 프리즘 인기상은 ‘선재 업고 튀어’의 주연배우 김혜윤과 변우석이 받았다.

연극 부문에선 ‘퉁소소리’(서울시극단)가 백상연극상을 수상했다. 젊은연극상은 극단 공놀이클럽(말린 고추와 복숭아향 립스틱)이 영예를 차지했다. 곽지숙(몰타의 유대인)은 연기상 트로피를 안았다.
제61회 백상예술대상 수상자·작품
[방송 부문]
대상=‘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드라마 작품상=‘폭싹 속았수다’(넷플릭스)
예능 작품상=‘풍향고’(유튜브 채널 뜬뜬)
교양 작품상=‘스페셜-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SBS)
연출상=송연화(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극본상=임상춘(폭싹 속았수다)
예술상=장영규(정년이/음악)
남자 최우수 연기상=주지훈(중증외상센터)
여자 최우수 연기상=김태리(정년이)
남자 조연상=최대훈(폭싹 속았수다)
여자 조연상=염혜란(폭싹 속았수다)
남자 예능상=신동엽
여자 예능상=이수지
남자 신인 연기상=추영우(옥씨부인전)
여자 신인 연기상=채원빈(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영화 부문]
대상=홍경표 촬영감독(하얼빈)
작품상=‘하얼빈’
감독상=오승욱(리볼버)
신인 감독상=오정민(장손)
남자 최우수 연기상=조정석(파일럿)
여자 최우수 연기상=전도연(리볼버)
남자 조연상=유재명(행복의 나라)
여자 조연상=수현(보통의 가족)
남자 신인 연기상=정성일(전,란)
여자 신인 연기상=노윤서(청설)
각본상(시나리오상)=신철·박찬욱(전,란)
예술상=조영욱(전,란/음악)
구찌임팩트어워드=‘아침바다 갈매기는’
[연극 부문]
백상연극상=‘퉁소소리’(서울시극단)
젊은연극상=극단 공놀이클럽(말린 고추와 복숭아향 립스틱)
연기상=곽지숙(몰타의 유대인)
프리즘 인기상=변우석, 김혜윤
대상=‘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드라마 작품상=‘폭싹 속았수다’(넷플릭스)
예능 작품상=‘풍향고’(유튜브 채널 뜬뜬)
교양 작품상=‘스페셜-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SBS)
연출상=송연화(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극본상=임상춘(폭싹 속았수다)
예술상=장영규(정년이/음악)
남자 최우수 연기상=주지훈(중증외상센터)
여자 최우수 연기상=김태리(정년이)
남자 조연상=최대훈(폭싹 속았수다)
여자 조연상=염혜란(폭싹 속았수다)
남자 예능상=신동엽
여자 예능상=이수지
남자 신인 연기상=추영우(옥씨부인전)
여자 신인 연기상=채원빈(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영화 부문]
대상=홍경표 촬영감독(하얼빈)
작품상=‘하얼빈’
감독상=오승욱(리볼버)
신인 감독상=오정민(장손)
남자 최우수 연기상=조정석(파일럿)
여자 최우수 연기상=전도연(리볼버)
남자 조연상=유재명(행복의 나라)
여자 조연상=수현(보통의 가족)
남자 신인 연기상=정성일(전,란)
여자 신인 연기상=노윤서(청설)
각본상(시나리오상)=신철·박찬욱(전,란)
예술상=조영욱(전,란/음악)
구찌임팩트어워드=‘아침바다 갈매기는’
[연극 부문]
백상연극상=‘퉁소소리’(서울시극단)
젊은연극상=극단 공놀이클럽(말린 고추와 복숭아향 립스틱)
연기상=곽지숙(몰타의 유대인)
프리즘 인기상=변우석, 김혜윤
황지영([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