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실명 공격 대신 "모 대표"…정치인 닷새째 한덕수 풍경

6일 서울 한 호텔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했던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 후보에게 토론 진행을 맡은 김승련 관훈클럽 총무(동아일보 논설위원)이 건넨 말이다. 한 후보가 토론 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실명을 언급하지 않은 점을 짚은 것이다. 김 총무는 “오랜 공직 훈련 때문에 그러신 것 같다. 정치인이 되신지 닷새째니 실명도 좀 사용해 주지를 선명하게 살려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뿐이 아니다. 지난 2일 대선 출마 이후 한 후보는 이재명이란 이름을 단 한 차례도 직접 꺼내지 않았다. 주로 개헌과 통상과 같은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3일 후보 수락 연설에서 “독재자 이재명”이라며 수차례 이 후보의 실명 비판했던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나, 이 후보를 “범죄라”로 지칭하며 각을 세웠던 한동훈, 홍준표 전 국민의힘 대선 예비 후보와 다른 모습이다. 한 후보는 이날 토론회에서도 민주당의 경제 정책을 이념적이라 비판하며 “그러다가 나라가 망할 수 있다”고 비판했지만, 이 후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한 후보는 6일 토론회에서 최근 광주사태라는 표현을 쓴 것을 사과하며 이 후보의 과거 발언을 소환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도 이재명이란 이름 대신 “모 야당의 대표였고 지금은 대선 후보인 분이 2014년에 광주 사태라는 표현을 쓰셨다”고 말했다. 이 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세월호 참사를 ‘제2의 광주사태’로 비유한 페이스북 글을 가리킨 것이었다.

한 후보 측은 이 후보를 직접 거론하지 않는 건 “후보의 의지”라고 설명한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캠프 내에서 이 후보에 대해 네거티브 공격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며 “그때마다 한 후보가 ‘우린 정책으로 맞서자’며 만류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캠프 관계자는 “한 후보의 아내에 대한 공격에, 이미 법인카드 유용으로 기소된 김혜경씨를 맞대응 카드로 꺼낼 수도 있지만, 그건 한 후보의 스타일이 아니다. 국민은 싸우는 걸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舊) 여권 내부에선 이같은 한 후보의 모습을 두고 “아직 관료의 모습을 벗어내지 못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에게 두 자릿수 이상으로 뒤처지는 상황에서, 앞서가는 후보의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후보가 한 후보를 겨냥해 내란 세력이라 비판하는 것과 비교해 “한 후보 메시지의 선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금 한 후보는 이 후보에 비하면 절대적인 약자”라며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 등 아픈 점을 정확히 찔러 선명한 일대일 구도를 만드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박태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