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프리즘] 오월걸상과 ‘조형물 비즈니스’ 논란

5·18 조형물(오월걸상)은 자치단체와 민간단체가 뜻을 모아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김제선 대전 중구청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오월걸상 건립 장소로 중구 서대전광장을 사용하게 해달라’는 대전지역 5·18 관련 단체 의견을 지난 3월 대전시에 검토 요청했다”고 말했다. 광장 소유권이 대전시에 있기 때문이다. 오월걸상은 광주민주화운동 정신의 전국화를 목표로 만든다고 한다. 걸상에 앉아 5·18 정신을 생각해보자는 취지다. 2017년부터 전국 100개 건립을 목표로 추진, 현재 9곳에 들어섰다. 형태는 의자·접시 등 다양하다.
![2020년 옛 경기도청 앞에 설치된 오월걸상. 돌로 만든 이 조형물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설치했다. [사진 경기도]](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07/487c277a-aa80-4919-95e2-b9c3057c9cfc.jpg)
장소 적합성 여부를 떠나 대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조형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냐는 지적도 있다. 충청권에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4·19 당시 3·8 민주의거나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등 민주화·독립운동이 많다. 이와 관련된 조형물도 전국 곳곳에 설치해야 하느냐 이말이다.
대전에서 역사 조형물 설치 논란은 종전에도 있었다. 시민단체 등은 2022년 광복절을 맞아 충남대에 ‘평화의 소녀상’을 한밤중에 설치했다. 충남대 측은 “대학 조형물설치위원회 승인을 얻지 않아 규정을 어겼다”며 철거를 요구했다. 하지만 후속 조치가 없었고 소녀상은 그대로 있다. 대전에는 대전시청 앞 보라매공원과 동구 인동 등에 또 다른 소녀상이 있다. 평화의 소녀상은 2011년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모습을 보인 뒤 전국으로 확산, 100여 개로 늘었다.
보라매공원에는 징용노동자상도 있다. 이는 평화나비대전행동·민주노총 등이 2019년 8월 세웠다. 이 역시 관할 지자체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조형물이지만 6년째 그 자리에 있다. 이 노동자 상을 놓고 ‘일본인 모델’ 논란이 일고 있다. 징용노동자상도 여러 곳에 들어섰다.
이런 조형물 상당수는 시민 등을 상대로 모금한 뒤 특정 작가가 제작해왔다. 하지만 실제 제작비가 얼마인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많은 논란에도 오월걸상 등을 세우려는 데는 ‘역사 알기’ 외에 ‘조형물 비즈니스’라는 또 다른 목적이 있어 보인다.
김방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