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군사충돌…테러 갈등 서로 미사일공격

카슈미르 총기 테러 사건 여파로 갈등을 빚던 '사실상 핵 보유국' 인도와 파키스탄이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았다.
7일(현지시간) AP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이날 오전 자국군이 파키스탄과 파키스탄이 점령한 잠무와 카슈미르의 9곳을 공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인도는 파키스탄 군 시설이 공격의 표적이 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파키스탄 보안 당국은 인도가 이날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와 펀자브주 등 5곳에 미사일을 발사해 어린이를 포함 민간인이 최소 8명 사망했다고 밝혔다.
파키스탄 정부는 인도의 이번 군사작전에 대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인도에 보복하겠다고 즉각 밝혔고, 파키스탄 사마TV는 파키스탄 군이 인도 내 목표물에 보복 미사일 공격을 했으며 파키스탄 공군이 인도 전투기 5대를 격추했다고 전했다.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엑스(X)에 "교활한 적군이 파키스탄 다섯 지역에 비겁한 공격을 감행했다"며 "파키스탄은 인도가 자행한 이 전쟁 행위에 강력히 대응할 모든 권리가 있으며, 현재 강력한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고 적었다.
샤리프 총리는 "온 국민이 파키스탄군을 지지하며 파키스탄 국민 전체의 사기와 정신은 매우 높다"면서 "우리는 적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고 있고, 결코 적의 사악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발생한 총기 테러로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친 뒤 일촉즉발 긴장 상태를 이어왔다.
인도는 파키스탄을 테러의 배후로 지목하면서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고 파키스탄과 상품 수입·선박 입항·우편 교환을 금지하는 등 제재에 나섰다. 이에 파키스탄은 연관성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과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다.
이후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을 두고 지난 6일까지 소규모 교전이 이어졌다. 인도는 6일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 강물을 차단했고, 파키스탄은 전쟁 행위로 간주하겠다며 핵 공격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김지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