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 "캐나다 안 팔아" 트럼프 "'절대'란 없어"…대면회담 신경전

“‘절대로’란 말은 절대로 하지 마세요.”(도널드 트럼프)
캐나다의 미국 제51번째 주(州) 편입론을 펴 왔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면전에서 기존 주장을 또다시 언급하면서 양국 정상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양자 회담에서 한 국가 정상이 상대 국가 주권 문제를 노골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로 받아들여지는 만큼 보기 드문 장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백악관을 방문한 카니 총리와의 환담 행사에서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고 말한 것은 농담이었느냐’는 취재진 물음에 “아니다. 여전히 그렇게 생각하지만 탱고를 추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부동산 개발업자로서 봐도 아름다운 일”이라면서 “하지만 누군가가 논의하고 싶지 않다면 논의하지 않겠다”고 했다. 상대국 의사가 중요하지만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으로서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캐나다의 미국 편입이 많은 이점이 있다는 얘기였다.
━
“백악관·버킹엄궁처럼 加 매물 아냐”
카니 총리는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국제 안보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ㆍNATO)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도 말씀드리고 싶다”고 트럼프 대통령을 치켜세웠다. 상대의 면을 세워주는 말로 자칫 딱딱해질 수 있는 분위기를 부드럽게 이끈 모습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절대란 말은 절대 하지 말라”고 받았다.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말라는 의미다.
지난 3월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에 이어 취임한 카니 총리는 지난달 28일 치른 캐나다 총선에서 당초 야당인 보수당에 압도적 열세였던 판을 뒤집고 승리해 재집권에 성공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합병 의욕을 드러내고 캐나다 제품에 무거운 관세를 물리면서 캐나다 유권자들의 애국심을 자극한 결과였다. 캐나다와 영국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경제통 카니는 선거 기간 “트럼프가 우리를 가지려고 하지만 절대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며 캐나다 내 반(反)트럼프 표심 결집에 앞장섰다.

━
트럼프 “카니 승리에 내가 큰 공” 농담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의식한 듯 환담 행사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또 다른 누구와 감정 폭발이 있었던 것처럼 되진 않을 것이다”고 했다. 이어 “(카니 총리의 승리에) 아마도 제가 가장 큰 공을 세운 것 같지만 전적으로 내 공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말해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하지만 무역적자 및 관세 협상을 언급하면서는 표정이 달라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미국의 자동차를 만들고 싶지 캐나다산 자동차를 원하지 않는다. 캐나다산 철강ㆍ알루미늄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의 관세를 철회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카니 총리가 할 수 있는 말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없다”고 답해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 기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ㆍ나프타)을 대체해 체결한 미국ㆍ멕시코ㆍ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놓고는 “가장 큰 목적은 미국에게 매우 불공정했던 나프타를 없앤 것이었다. (USMCA는) 모두에게 좋은 협정이고 실제로 매우 효과적이지만, 재협상이 필요하다면 재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카니 총리도 “몇 가지 사항은 바뀌어야 할 것이다. 상황 변경 요소들이 생겨났고 우리가 그것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1기 때 체결된 USMCA는 3국이 2026년 7월에 예정된 재검토 과정을 거쳐 협정 연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
트럼프 “8~9일 또는 12일쯤 중대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또 “오는 12일 밤 우리는 중동, 사우디아라비아에 갈 것이고 아랍에미리트(UAE)와 카타르로 갈 것”이라며 “그 전인 8~9일이나 12일쯤 매우 중요한 주제에 대한 중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형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