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포스코홀딩스, CCU기술 실증사업…“철강 탄소를 화학 원료로”

LG화학과 포스코홀딩스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7일 양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메가 프로젝트 사업의 하나로 화학·철강 산업 연계 CCU 기술 실증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CCU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포항 제철소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 LG화학의 메탄건식개질(DRM) 기술로 일산화탄소(CO)나 수소를 생산한다. 철광석에서 철을 얻기 위해 석탄이 환원제로 사용되는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일산화탄소 등을 철광석의 환원제로 다시 투입해 제철공정에 사용되는 석탄을 줄일 수 있다는 구상이다. 또 일산화탄소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화학제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고, 수소는 친환경 연료로도 쓸 수 있다.
화학·철강의 대표 기업인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고, 핵심 원료와 연료를 경제성 있게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탄소 중립 달성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기대하는 것이다.
LG화학의 DRM 기술은 CCU의 한 종류다. LG화학은 2023년 충남 대산에 1000톤(t) 규모의 DRM 파일럿 공장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실증 사업은 내년 시작해 2028년 포항제철소에 설비를 구축, 2030년까지 실증 운전을 목표로 한다.
이종구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이번 협력은 철강과 화학 산업이 함께 주도하는 탄소 중립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LG화학은 기존 산업 구조에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 산업의 탄소 저감 및 지속 가능한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도전과 도약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홀딩스는 CCU 기술을 활용해 만든 합성가스(일산화탄소+수소)를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화학제품의 원료로 외부에 판매하거나, 제철공정으로 다시 투입해 효율적인 자원 순환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룹의 연구·기술·사업 부문의 고유 기능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미래 새로운 사업 기회로도 연계 가능성을 찾을 계획이다.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CTO 미래기술연구원장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고, 고부가가치 소재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해 양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최선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