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쿨리발리 이적, 사슬로 묶어서라도 막고 싶었다"는 스팔레티, 김민재+흐비차 영입에 "전적으로 신뢰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SEN=정승우 기자] "김민재와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아우렐리오 데 라우렌티스 회장은 걱정했지만, 나는 '그냥 믿으라'고 했다."

루치아노 스팔레티 현 이탈리아 대표팀 감독이 자서전을 통해 SSC 나폴리에서의 비화를 공개했다. 6일(한국시간) 이탈리아 ‘아레아 나폴리’는 스팔레티의 신간 『천국은 존재한다... 하지만 얼마나 힘든가(Il Paradiso esiste... ma quanta fatica)』에 담긴 나폴리 우승 시즌의 후일담을 집중 조명했다.

책에서 스팔레티는 2022-2023시즌을 앞두고 나폴리 내부에 팽배했던 회의론을 전했다. 그는 "선수들에게 '우리가 진짜로 역사를 쓰려면 스쿠데토밖에 없다'고 말했다. 첫해에 3위를 차지한 뒤 맞은 여름은 쉽지 않았다. 다비드 오스피나, 로렌초 인시녜, 드리스 메르텐스, 칼리두 쿨리발리까지 팀을 떠났기 때문"이라며 어려운 출발을 설명했다.

특히 센터백 쿨리발리의 이탈은 큰 충격이었고, 그는 "그를 보내지 않으려고 사슬로 몸을 묶을 각오도 되어 있었다"라고 털어놨다.

가장 흥미로운 대목은 바로 김민재와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의 영입 당시를 회상한 부분이다. 스팔레티는 "크바라츠헬리아는 러시아 친구들의 강력한 추천이 있었고, 나는 당시 단장인 크리스티아노 지운톨리를 전적으로 믿었다. 그는 정확했다"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데 라우렌티스 구단주의 반응은 달랐다. 스팔레티는 "그가 내게 이렇게 말했다. '감독님, 도대체 한국인(김민재)과 조지아인(크바라츠헬리아)을 데려와 나폴리를 어떻게 강화하겠다는 겁니까?'라고 물었다"라고 전하며, 회장이 보여준 의구심을 그대로 전했다.

결과는 모두가 아는 대로였다. 김민재와 크바라츠헬리아는 단숨에 세리에A 최고 자원으로 자리매김했고, 나폴리는 33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무명'이라는 시선 속에서도 스팔레티는 믿음으로 밀어붙였고, 그 결단은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즌으로 이어졌다.

특히 김민재는 나폴리 시절 기복 없는 수비 실력으로 팀의 33년 만의 세리에A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냈다. 역사적으로 강력한 수비수들을 배출해왔던 이탈리아 무대에서 실력으로 인정받았다.

프랑스 축구 잡지 '프랑스 풋볼'이 주관하는 2023 발롱도르 시상식에서도 김민재의 이름이 나왔다. 발롱도르 순위에서 22위에 김민재가 당당히 이름을 올린 것. 최종 후보 30인 중 유일한 아시아 국적이었던 그는 수비수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돌이켜 보면, 김민재와 크바라가 나폴리에 남긴 가치는 단순한 우승 트로피 하나로 설명되지 않는다. 그들의 등장으로 유럽 무대 전체가 놀랐고, 나폴리는 다시 '꿈을 꾸는 팀'으로 거듭났다. 스팔레티는 결과로 증명했고, 그의 믿음은 결국 하나의 역사로 남았다. /[email protected]


정승우([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