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태극마크 단 고교생 쇼트트랙 천재…하늘은 그를 세 번 시험했다

임종언(18)은 한국 빙상계에 혜성처럼 나타난 고교생 스케이터다. 지난달 끝난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남자부 종합 1위에 올라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특히 남자 1500m 레이스에서 경기 후반 아웃코스로 빠져나간 뒤 박지원(29)·황대헌(26)·이정수(36) 등 쟁쟁한 선배 선수들을 한꺼번에 추월하는 장면은 압권이었다. 고교생 선수가 동계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개인전에 출전하는 건 2018년 평창 대회의 황대헌 이후 8년만. 임종언이 오래 기다린 세대교체의 서막을 열었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7일 중앙일보와 만난 임종언은 "처음엔 내가 올림픽에 나가게 됐다는 게 그저 믿기지 않았다. 선발전 후 처음 등교했을 때 비로소 실감이 났다"며 "갑자기 친구들이 같이 사진을 찍어달라고 하고, 사인도 받아가더라. 선생님들도 찾아오셔서 많이 축하해주셨다"고 활짝 웃었다. 그가 속한 노원고 빙상부는 이전까지 쇼트트랙 국가대표를 배출한 적이 없다. 그런데 이번에 재학생 임종언과 졸업생 이정민(23)이 동반 태극마크를 달았다. 학교 전체의 경사다.

임종언은 초등학교 1학년 때 처음 스케이트를 신었다. 취미로 인라인을 타다 "스케이트에 소질 있어 보인다"는 주변 권유로 쇼트트랙을 시작했다. 3학년 때 선수가 되기로 마음먹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일단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면 된다'는 가벼운 마음이었다"고 했다. 그런데 5학년 때 TV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보다 눈이 번쩍 뜨였다. '아, 정말 제대로 해서 나도 저 무대에 서고 싶다.' 그렇게 마음에 새로운 꿈이 자리 잡았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그 후 하늘은 세 차례 임종언을 시험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훈련하다 넘어져 스케이트 날에 오른쪽 허벅지 안쪽을 찍혔다. 아직도 커다란 흉터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중학교 2학년 때는 경기 도중 넘어져 오른쪽 정강이뼈가 골절됐다. 제대로 걷는 데까지 6개월이 걸렸고, 재활까지 1년이 필요했다. 그는 "처음으로 쇼트트랙을 그만둘까 고민했다. 나보다 부모님이 더 속상해하셨다"며 "그래도 내가 계속해보겠다고 설득했다. 시간이 해결해줄 거라고 생각하며 버텼다"고 털어놨다.

완치 후 겨우 훈련을 재개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훈련 도중 크게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엔 왼쪽 발목뼈가 부러졌고, 다시 6개월을 더 쉬었다. 그는 "그래도 쇼트트랙을 그만두기엔, 스케이트 타는 게 너무 즐거웠다. '지난번에도 해냈으니 이번에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겨냈다"고 토로했다.

거의 2년을 재활로 흘려보내는 사이, 또래 선수들은 한참 앞으로 치고 나갔다. 임종언은 마음을 다잡았다. "남들보다 뒤처졌으니, 남들만큼 운동해서는 안 될 거 같았다. 일주일 중 토요일만 빼고 오전 3시간, 오후 5시간을 매일 훈련했다"고 털어놨다. 자신의 한계와 싸워 이긴 나날들이 '올림픽 출전권'이라는 결실로 돌아왔다. 그는 "그동안 묵묵히, 열심히 해온 보답을 받은 느낌"이라고 했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쇼트트랙이 "행복 그 자체"라는 임종언에게 밀라노 올림픽은 새로운 출발선이다. 그는 '올림픽 금메달'보다 더 원대한 포부를 품고 있다. "앞으로 올림픽을 3번 이상 나가서 '쇼트트랙' 하면 떠오르는 선수가 되는 게 최종 목표"다. 그래도 밀라노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면, 꼭 인사하고 싶은 은인이 한 명 있다. 처음 금메달 꿈을 품게 된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그의 희로애락을 모두 함께했던 송승우 코치다.

'국가대표 제자'를 누구보다 자랑스러워했을 송 코치는 지난 2023년 8월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제자는 훈련 도중 이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했다. 임종언은 "부상으로 힘들어할 때 내가 흔들리지 않게 늘 붙잡아주신 분이다. 힘들 때마다 선생님 조언 덕에 버텨내곤 했는데, 한동안 빈자리가 커서 마음이 공허했다"며 "선생님이 하늘에서라도 기뻐하실 수 있게, 꼭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서 보답하고 싶다"고 마음을 다졌다.




배영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