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플라자 합의 시즌2? 심상찮은 아시아 통화



요동치는 환율시장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올해 들어 처음 1300원대를 기록하며, 5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미국이 무역 협상을 통해 ‘약달러’를 유도할 거란 전망이 나오면서, 아시아 신흥국의 통화 가치가 동반 상승했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 정부는 위안화 가치를 여전히 낮게 유지하고 있어, 위안화 절상을 원하는 미국과 통화 갈등이 본격화할 거라는 우려가 커진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값은 오후 3시 30분(주간 종가) 기준 전 거래일보다 7.3원 오른(환율은 하락) 1398원에 거래를 끝냈다. 이는 지난해 11월 29일(1394.7원) 이후 약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원화는 아시아 통화 가치 상승에 강세로 전환했다. 미국이 아시아 주요국과 무역 협상을 하면서, 과거 ‘플라자 합의’ 같이 인위적인 달러 약세를 요구할 거란 경계심이 확산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3일 대만 정부가 미국과 무역 협상을 가진 후 4~5일 대만달러 가치는 달러 대비 9.34% 급등했다. 대만 정부는 부인하고 있지만, 대만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대만달러 가치 상승을 용인했다는 관측이 확산하고 있다.

달러 페그제(미국 달러화와 홍콩달러의 환율을 일정 범위로 고정하는 제도)를 운영하는 홍콩도 환율이 페그제 허용 범위를 이탈할 조짐에 1166억 홍콩달러(약 20조9495억원)를 매도하며 환율 방어에 나섰다. 1983년 페그제 도입 이후 최대 규모였다. 5일 24개 신흥국 통화가치를 나타내는 ‘MSCI 신흥국통화지수’는 장중 1830포인트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 수준까지 올라갔다.

BNP파리바의 외환 총괄인 주 왕은 CNBC에 “미국에 대한 흑자 폭이 큰 나라일수록 ‘플라자 합의 시즌2’에 대한 두려움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고, 대만 달러화가 그 목록의 가장 위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미국이 개별 국가를 만나 환율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는 점을 꼽기도 했다. 이 총재는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뿐 아니라 일본과 대만 등 각국과 환율 논의를 한다는 소문이 번지면서 ‘환율에 대해 뭔가 일어나지 않겠나’ 하는 기대가 시장에 팽배하다”고 분석했다.

상대적 약세를 이어가고 있는 위안화 가치를 놓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도 커질 전망이다. 미국은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해 중국의 위안화 절상을 원한다. 반면 ‘물가 하락(디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중국 정부는 위안화 가치를 쉽사리 올리기 어렵다.

7일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은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치를 ‘1달러=7.2005위안’으로 고시 했다. 이는 전 거래일 고시 환율 대비 0.004% 소폭 오른 수치다. 아시아 통화가 급등세를 보이기 전인 지난 4월 30일 고시환율 (1달러=7.2014위안)과 비교해서도 1.24%만 오른 수준이다.

되려 위안화 가치 하락 압박이 커지고 있다. 인민은행과 중국 금융당국이 이날 ‘시장 심리 지원을 위한 패키지 금융정책’을 발표하며 돈을 더 풀기로 했기 때문이다. 정책 금리 역할을 하는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는 8일부터 현행 1.5%에서 1.4%로 낮춘다.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은 “지준율을 0.5%포인트 인하해 시장에 유동성 1조 위안(약 192조원)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급준비율(RRR·지준율) 인하는 오는 15일부터 적용된다.



버핏은 ‘지옥’ 표현 썼다, 미국서도 달러 위기론

중국의 현재 평균 지준율은 6.6% 수준으로, 당국은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중국 경기 둔화의 주요 원인인 부동산 침체를 겨냥한 대책도 내놨다. 주택 매입을 위해 기업과 노동자가 공동 부담하는 적금인 ‘주택공적금’ 대출 금리를 0.25%포인트 내리고, 만기가 5년인 첫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2.85%에서 2.6%로 낮추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정부가 이번 주에 미국과 첫 무역 협상을 한다는 소식이 알려진 후에 나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 미중 간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대외협상력을 높이는 한편 내수 부양도 병행하려는 정책 관점”이라고 설명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는 매일 발표하는 고시 환율로 위안화 가치에 대한 방향성을 보여주는데, 최근 아시아 통화 가치 급등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고시 환율은 소폭 상승에만 그쳤다”면서 “이는 중국이 여전히 위안화 절상시킬 생각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미국에선 재정 적자 확대와 통상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장기적으로 달러 가치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과거에는 시장이 약세로 돌아설 경우 미국 시장이 다른 지역보다 잘 버텼지만, 이번에는 달러화가 ‘안전한 피난처’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도이체방크 등 주요 IB들도 구조적인 달러 하락 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달러 강세를 주장해 온 골드만삭스조차 100년 만에 최고 수준의 관세로 “미국 자산에 대한 예외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94)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도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면서 “우리가 정말로 못 쓰게 될(going to hell) 거라고 생각하는 통화로 된 자산은 갖고 있고 싶지 않을 것”이라며 “그게 바로 우리가 미국 통화(달러)에 대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이 달러 대신 다른 통화를 더 많이 보유하고 싶을 수 있다”면서, 버크셔 해서웨이 역시 외국 통화로 자산을 다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남준.박유미.김경희([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