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금자 보호한도 1억, 9월 시행 목표”
5000만원인 예금자 보호 한도가 9월부터 1억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기자간담회에서 “연말·연초는 자금 이동이 있을 수 있어 피해야 하고, 입법예고나 금융회사의 준비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하반기 중반 정도에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이)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9월 1일 시행을 목표로 관계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예금자 보호 한도는 2001년 5000만원으로 지정된 이후 24년 만에 2배로 늘게 됐다. 2023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예금 보호 한도는 미국(3.1배), 영국(2.2배), 일본(2.1배)보다 낮은 1.2배에 불과했다. 이번 상향으로 일본(1000만 엔·9800만원) 등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오르게 된다.
━
예금 1억 보호, 금리 높은 2금융에 돈 몰릴 수도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으로 금융회사가 납부하는 예금보험료 인상과 이에 따른 소비자 비용 전가 등의 부작용도 제기된다. 이에 금융위는 예금보험료 인상은 한도 상향 이후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금융위는 대출 한도를 제한하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7월에 시행하기로 했다. 다만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차등을 둘 계획이다. 현재 2단계를 적용하면서 수도권 1.2%포인트, 비수도권 0.75%포인트의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데 수도권만 스트레스 금리를 1.5%포인트로 높이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대출금리가 올라가진 않지만 스트레스 금리가 붙은 만큼 대출 한도는 줄어든다. 구체적인 수치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추가 분석한 뒤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규제 강화는 기본으로 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속도 차이를 두겠다”며 “부동산 시장 상황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런 점을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매각이 무산된 MG손해보험 처리 방안에 대해선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가교보험사 설립도 가능한 옵션 중 하나”라고 말했다.
정진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