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에너지위원장 “AI 경쟁 속 中의 전력 확대, 밤잠 설치게 해”

" “저에게 밤잠을 설치게 하는 게 뭐냐고 묻는다면 바로 이 문제입니다. 전기 공급에 의해 주도되는 인공지능(AI) 군비 경쟁의 규모와 중요성을 이해한다면 말이죠.” "
더그 버검 미국 내무부 장관은 6일(현지시간) 공개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급격한 석탄 기반 전력 확대가 AI 패권 경쟁에서 미국을 위협하는 요인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백악관 국가에너지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버검 장관은 생명공학 기업 오할로 제네틱스 최고경영자(CEO)이자 인기 팟캐스트 ‘올인(All-In)’의 공동 진행자 데이비드 프리드버그와 한 인터뷰에서 “중국은 지난해 94.5기가와트(GW)의 석탄 발전 전력을 새롭게 생산했다”며 “덴버시의 연간 전력 공급량이 1기가와트이니 지난해에만 덴버시 94개 분량의 전력을 새롭게 생산한 셈”이라고 말했다. 94.5기가와트는 캘리포니아주 전체와 뉴욕주 전체를 합친 전력량보다도 많은 규모다.

━
“中, 덴버시 94개 분량 석탄 전력 생산”
버검 장관은 석탄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필수적인 기저 부하를 제공하는 데 탁월한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사람들은 ‘석탄’이라는 말만 들어도 싫어할 수 있지만 전기 관점에서 보면 석탄은 시스템의 지속적 가동에 필요한 전류와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특성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
“스페인 대정전, 재생에너지의 한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을 ‘그린 신종사기’로 규정하며 화석연료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버검 장관이 수장으로 있는 내무부는 지난달 23일 화석연료나 광산 개발에 필요한 정부 인허가 절차를 최대 28일로 대폭 축소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생물다양성센터 등 환경 단체는 “기업 이익을 위해 환경 규제를 약화시키는 조치”라고 비판하며 소송을 예고했다. 스페인 대정전 사태가 안정적인 전력망 운용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긴했지만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개발을 막는 이유가 될 수는 없으며 친환경 에너지와 전통적 에너지원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형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