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부사장 "AI가 검색 엔진 대체할 것"…구글 지배력 타격(종합)
구글 반독점 재판서 "지난달 사파리 검색량 첫 감소"…구글 주가 7.5%↓
구글 반독점 재판서 "지난달 사파리 검색량 첫 감소"…구글 주가 7.5%↓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검색이 구글과 같은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애플 측이 7일(현지시간) 밝혔다.
애플 서비스 부문 책임자인 에디 큐 부사장은 이날 미 워싱턴DC 연방법원에서 열린 온라인 검색 시장에서의 구글 독점 해소를 위한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큐 부사장은 "지난달 사파리(Safari)의 검색량이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밝히며 "이는 사람들이 AI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된 결과"라고 진단했다.
사파리는 아이폰의 브라우저로, 구글은 사파리의 기본 검색 엔진이다. 구글은 사파리의 기본 검색 엔진 설정 대가로 애플에 2022년 기준 연 200억 달러의 수익 공유를 해오고 있다.
그는 "오픈AI와 퍼플렉시티AI, 앤스로픽과 같은 AI 기반 검색 제공자들이 결국 구글과 같은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또 이들 기업의 AI는 앞으로 사파리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으로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런 언급은 검색 시장의 지각 변동이 진행 중임을 시사하는 것"이라며 "아이폰 사용자가 구글 검색 엔진을 이용하면서 막대한 광고 수익을 올려온 구글에 큰 타격이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그는 "이들 AI가 옵션으로 추가되더라도 기본 검색 엔진은 아닐 것"이라며 "이들 AI는 아직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애플은 자사의 음성 비서 시리(Siri)에 오픈AI의 챗GPT를 옵션으로 제공하고 있다. 큐 부사장은 애플이 퍼플렉시티와도 논의를 진행한 사실도 언급했다.
아울러 애플은 구글과도 AI 모델인 제미나이를 옵션으로 추가하는 방안을 지난해부터 논의해 오고 있으며, 연내에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이들 AI가 빠르게 개선되지 않아도 제공하는 다른 기능들이 매우 우수해 사람들이 전환할 것"이라며 "충분한 자금과 대형 업체들도 있어 기존 검색에서 AI 검색으로 전환이 일어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생성형 AI의 핵심 기술인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계속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이 AI 기반 검색으로 바꿀 이유가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여전히 구글이 사파리의 기본 검색 엔진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구글과 수익 공유 계약이 깨질까 봐 잠을 설친 적도 있다"고 말했다.
그의 이런 발언에 이날 뉴욕 증시에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 주가는 7.5% 급락했다. 애플 주가도 1.1% 하락 마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DA 데이비드슨의 길 루리아 분석가는 "애플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잃는 것만으로도 구글에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광고주가 구글이 거의 90%의 점유율을 가진 사실상 독점적 위치 때문에 검색 광고를 모두 구글에 몰아준다"며 "대안이 있을 경우 광고 예산이 (구글에서) 대거 이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구글도 막대한 자금력과 방대한 데이터 자산을 바탕으로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용자의 검색 내용을 요약해 주는 'AI 오버뷰(Overviews)' 기능을 100개국 이상으로 확대하고, 광고도 추가해 검색 광고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다.
구글 최고경영자(CEO) 순다르 피차이는 최근 반독점 재판에서 올해 중반까지 자사의 AI 기술 제미나이(Gemini)를 아이폰에 탑재하는 계약을 애플과 체결하길 희망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는 "애플의 이번 계획은 챗GPT나 퍼플렉시티와 같은 생성형 검색 서비스가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구글이 기본 검색 엔진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지급할 만큼 중요한 계약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 법무부가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온라인 검색 시장에서의 반독점 소송에 대해 법원은 지난해 8월 법무부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법무부는 구글이 크롬을 매각하고 검색 데이터를 경쟁업체와 공유하도록 강제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으며, 법원은 8월까지 해소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태종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