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교황’ 금기 깼다…"이런 날 올 줄 몰랐는데" 美 들썩

" 처음 소식을 들었을 때 정말 충격에 빠졌습니다. 완전히 흥분 그 자체였습니다. "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이 미국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새 교황에 선출된 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성 마테오 사도 대성당에서 중앙일보와 만난 로버트 제이머슨 신부는 “제 평생에 이런 일을 보게 될 줄은 생각도 못했다”고 기뻐하며 이렇게 말했다.
자신의 생애에서 ‘미국인 교황’이 현실화할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이는 제이머슨 신부만이 아니다. 이 성당에서 기도를 마치고 나온 신도 오드리 슈멜저도 “개인적으로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필리핀 추기경이 교황에 선출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정말 뜻밖이었다”며 “하지만 프레보스트 추기경도 훌륭한 선택”이라고 웃으며 말했다.
2000년이 넘는 가톨릭 역사에서 첫 미국인 교황이 탄생하자 미 전역이 축제 분위기에 휩싸여 들썩이고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가톨릭 신자를 보유한 나라 중 하나지만, 유럽 중심의 가톨릭 문화권에서 이어져온 ‘초강대국 출신 배제’라는 암묵적 관행 때문에 교황을 배출하지 못했다. 오랜 금기를 깨고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제 267대 교황에 오르자 미국 가톨릭계는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
“프란치스코 잇는 훌륭한 후계자 될 것”
역대 교황이 전통적으로 자신이 쓸 이름을 고를 때는 같은 이름을 사용했던 전임 교황의 사목 방침을 존중하고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는다. 마테오 브루니 교호항청 대변인은 “새 교황의 이름 ‘레오14세’는 노동권과 사회 정의를 강조한 레오 13세 교황(재위 1878~1903년)을 계승한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레오13세는 1891년 가톨릭 역사상 처음으로 사회 문제만을 다룬 ‘노동헌장(Rerum Novarum)’ 회칙을 반포해 현대 가톨릭 사회교리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된다.


━
새 교황 고향 시카고서 “교황 만세”
레오 14세 교황과 신학생 시절 함께 공부했다는 윌리엄 레고 시카고 성 투리비우스 성당 신부는 “내 동급생이 교황이 됐다”며 “그는 항상 가난한 이들을 생각하고 그들을 돕고자 하는 마음이었다”고 뉴욕타임스에 말했다.
━
미 언론 대서특필…지대한 관심

━
레오 14세, 트럼프 이민정책에 부정적
지난 2월에는 밴스 부통령이 불법 체류자 추방 정책을 옹호하는 과정에서 “가족을 사랑하라, 그 다음에 이웃을, 그 다음에 공동체를, 그 다음에 동료 시민을 사랑하라”는 말을 기독교 교리라고 거론한 것을 두고 “밴스가 틀렸다. 예수님은 타인에 대한 사랑에 순위를 매기라고 하지 않았다”는 가톨릭 매체 기사를 공유했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도 “장벽만 세우려 하는 사람은 그리스도인이 아니다”고 하는 등 트럼프 정부의 국경 장벽 강화 및 이민자 추방 정책을 여러 번 비판했었다.
김형구.김하나([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