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미 해군, 연합 해상훈련 실시…해군력 강화 외친 北에 경고

한·미 해군이 북한 특수부대의 침투 상황을 가정한 연합 해상훈련을 실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새로운 해상 국경선으로 추정되는 '중간계선해역'이란 용어를 사용하며 북방한계선(NLL) 무력화를 위한 해상 도발 가능성을 높인 데 따른 경고 차원으로 풀이된다.

한미 연합 해상훈련이 진행된 지난 9일 해군 군수지원함인 대청함(AOE-Ⅰ, 오른쪽)이 미 해군 윌리엄로렌스함(DDG, 왼쪽)에 유류를 공급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11일 해군에 따르면 한·미는 지난 8일부터 이날까지 동해상에서 연합 해상훈련을 진행했다. 한국에선 해군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7600t급)을 비롯해 수상함과 잠수함 등 함정 10여척과 P-3 해상초계기, AW-159·링스(Lynx) 해상작전헬기, FA-50·KF-16 공군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대가 참가했다. 미 측에선 이지스구축함 로렌스함, P-8 해상초계기가 출격했다.

이번 훈련은 매년 두 차례 실시하는 정례 연합 해상훈련의 일환으로 최근 북한의 해군력 강화 움직임과 맞물려 실전적으로 치러졌다. 북한이 해상·수중·공중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도발하는 복합적인 상황을 부여하고, 이에 대해 한·미 전력이 즉각 격멸하는 절차를 숙달했다고 해군은 설명했다.

율곡이이함(DDG) 장병들이 5월 9일 전투지휘실에서 한미 연합 해상대특수전부대작전(MCSOF)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군 제공
실제 북한은 지난달 25일 첫 5000t급 구축함인 최현호 진수식을 연 데 이어 같은 달 28~29일 실사격 등 최현호의 무기 체계 시험을 처음 벌였다. 김정은은 진수식에서 "원양작전함대를 건설해 먼 바다에서의 작전 능력을 보유할 것"이라며 "함선들을 연안방어수역과 중간계선해역에서 평시작전운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무기 체계 시험장에선 "강력한 공격 능력을 전제로 하는 주동적이며 공세적인 방어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NLL을 부정하는 새로운 해상 경계선의 방어를 구실 삼아 도발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이에 따라 한·미는 북한 특수부대가 동해상으로 침투하는 상황을 가정해 이번 훈련을 실시했다. 해군 관계자는 "NLL을 남하하는 북한의 특수전 전력을 현장에서 조기에 격멸하는 해상대특수전부대작전(MCSOF) 훈련에 중점을 뒀다"며 "수중으로 침투하는 적 잠수함을 탐지·식별·추적·격멸하는 연합 대잠전 훈련도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공중으로 침투한 적 무인기 대응훈련, 국지도발 대응훈련,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 해상기동군수 훈련 등도 이뤄졌다.

한미 연합 해군이 연합 해상훈련의 일환으로 5월 8일 전술기동 훈련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잠수함(SS-II), 율곡이이함(DDG), 미 해군 윌리엄로렌스함(DDG), 양만춘함(DDH-Ⅰ), 대조영함(DDH-II), 광개토대왕함(DDH-Ⅰ), 대구함(FFG-II). 사진 해군 제공

이번 훈련을 지휘한 류윤상 제1해상전투단장(준장)은 "적의 다양한 해상도발 상황에 대비한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었다"며 "한·미 연합 해군의 압도적인 전력으로 적의 어떠한 도발에도 강력하게 응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근평.이유정([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