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인도·파키스탄 ‘휴전 중재’로 간만에 성과…“국경서 재충돌”
인도와 파키스탄이 무력 충돌 나흘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중재로 10일(현지시간) 휴전에 전격 합의했다. 사실상 핵보유국인 두 나라가 양국의 영토 분쟁 지역인 카슈미르 등에서 6년 만에 미사일 공격을 주고받으며 확전 우려를 낳았었다.때문에 이번 합의는 우크라이나 전쟁, 가자지구 전쟁 중재에서 고전 중인 트럼프 대통령이 간만에 거둔 외교적 성과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휴전 합의 몇 시간 만에 양국의 접경 지역에서 또다시 간헐적 교전이 벌어져 긴장은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의 중재로 이뤄진 긴 협상 끝에 인도와 파키스탄이 완전하고 즉각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두 국가가 상식과 큰 지혜를 발휘했음을 축하한다"고 했다. 트럼프는 두 당사국보다 한발 앞서 휴전 합의 사실을 공개하며 자신의 중재 성과를 부각했다. 인도와 파키스탄 정부도 곧이어 휴전 사실을 확인했다.
트럼프는 이날 트루스소셜에 또다시 올린 글에서 "전격 휴전한 인도·파키스탄과의 교역을 확대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미국이 (두 나라의) 역사적이고 영웅적인 결단을 도운 것이 자랑스럽다"며 "이에 더해 나는 카슈미르 관련 문제를 천 년이 걸리더라도 해결하기 위해 양측 모두와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처럼 성공한 중재를 자신의 확실한 치적으로 만들기 위해 당사국들에 경제적 협력 확대란 일종의 보상을 제시하고, 나아가 카슈미르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78년간 접경 지역인 카슈미르를 놓고 격렬하게 대립했다. 이번 무력 충돌도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파할감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테러로 인도 남성 상당수를 포함한 힌두교도 26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인도 당국은 이를 파키스탄과 연계된 이슬람 테러 조직이 인도 힌두교도 살해를 목적으로 벌인 테러로 보고 보복을 예고해왔다. 지난 7일 인도군은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등의 9곳을 미사일로 타격하는 '신두르 작전'을 단행했으며 파키스탄도 보복 공습하면서 양측의 사망자는 총 66명에 달했다.
미국은 오랜 기간 두 나라의 갈등을 막후에서 중재했지만, 미 중심주의 외교 노선을 추구하는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8일까지도 양국의 무력 충돌을 방관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다 핵보유국인 양국의 무력 충돌 격화로 확전이 우려되자 서둘러 적극 개입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10일 "JD 밴스 부통령과 내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 그리고 양국의 다른 고위 관리들과 (전화로) 광범위한 협상을 벌인 후 휴전 합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미국으로선 인도와 파키스탄의 충돌이 조기에 진화되지 않을 경우 '미·중 대리전' 양상으로 비화할 가능성을 우려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인도는 비동맹 중립 외교를 추구하지만,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회원국으로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과 공조하고 있다. 반면 파키스탄은 인도에 맞서기 위해 중국과 긴밀히 협력해왔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10일 제네바에서 관세 관련 고위급 협상을 시작한 상황에서 미·중 갈등의 불씨를 방치하지 않은 것이란 분석이다.
중국 역시 인도·파키스탄의 휴전 발표 직전 왕이 중국 외교부장(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이 양국과 통화한 사실을 공개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10일 왕이는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교부 장관,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과 각각 통화해 양국의 충돌 격화에 우려를 표하고 조속한 휴전을 촉구했다.

다만 인도·파키스탄의 휴전 발표 몇 시간 만에 카슈미르 지역에서 폭발이 발생했고, 소규모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고 CNN 등이 전했다. 양측은 서로가 휴전 합의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문가를 인용해 "양국이 한발씩 물러섰지만, '화약고'인 카슈미르에서 언제든 테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휴전이 지속될지는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짚었다.
또한 파키스탄은 이번 휴전에서 미국의 역할이 중요했다고 인정했으나 비동맹 노선을 추구하는 인도는 당사국 간 직접 대화를 통해 합의가 이뤄졌다며 미국의 중재 역할을 축소했다.
임선영([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