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美재무장관, 中관세합의에 "상황 악화 막을 메커니즘 갖춘 것"

"반도체·의약품 등 핵심 산업만 전략적 디커플링…한일 등 협상서도 진전"

美재무장관, 中관세합의에 "상황 악화 막을 메커니즘 갖춘 것"
"반도체·의약품 등 핵심 산업만 전략적 디커플링…한일 등 협상서도 진전"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지난 주말 중국과의 관세 협상을 이끈 미국의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미·중 관세 인하 합의에 대해 양국이 긴장을 피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추게 된 것으로, 향후 논의를 위한 '매우 좋은 틀'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13일(현지시간) 평가했다.
블룸버그, A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 참석,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는 계획과 절차를 갖고 있었다. 중국과 없었던 건 메커니즘이었다"며 "이번 주말 이후, 우리는 이전처럼 상황이 악화하는 것은 피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미·중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회담을 거쳐 상대국에 부과한 관세를 90일간 각각 115%포인트(P) 내리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날 베선트 장관은 양국 간 논의에 한계가 있냐는 물음에 "모든 게 논의 대상"이라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도 미국은 중국과 '전면적인' 디커플링(공급망 완전 분리)은 원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핵심 전략산업에 대해서만 디커플링 전략을 추구하려 하고 있다며, 미국이 '심각하게 자급자족하지 못하는' 분야의 예로 반도체와 의약품을 꼽았다. 그는 "미국은 이러한 산업들을 본국으로 데려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크고, 아름다운 경제 리밸런싱(rebalancing·재조정)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꿈의 시나리오'는 미국과 중국이 협력해 '중국 소비자의 개방'을 가져오고, 중국이 더 많은 미국 상품을 구매하는 재균형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 지도부를 포함해 모두가 소비와 소비자 경제를 중심으로 재조정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또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대만 등 다른 지역 국가들과의 협상에서도 진전을 이뤘다고 전했다. 그는 "그래서 제가 속한 세상의 일들은 아주 잘 되고 있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문에 맞춰 열린 이날 포럼엔 양국 정·재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오후엔 중동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트럼프 정부의 인공지능(AI)·가상화폐 차르인 데이비드 색스도 연설할 예정이다.
블랙록, 시티그룹, IBM, 보잉, 델타항공,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의 미국 기업 CEO들이 초청받았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연숙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