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마지막 노른자땅 특혜냐" 평당 3000만원 고분양가 논란

━
㈜자광,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 신청
전주시는 14일 “옛 대한방직 부지에 ‘관광타워 복합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자광이 지난달 21일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을 신청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 계획 승인 여부는 오는 6~7월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감리자 지정과 입주자 모집 공고, 착공 신고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9~10월 착공과 함께 주택을 분양, 2030년 상반기 준공하는 게 ㈜자광 목표다.


━
“평당 2500만~3000만원 검토”
이원 ㈜자광 부사장은 “공사 기간 4만명에 달하는 일자리 창출과 준공 후에도 3000명 규모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며 “현재 시공사 3~4곳과 협의 중이며, 다수 전문가는 아파트 적정 분양가로 3.3㎡당 2500만~3000만원을 제시하고 있다”고 했다. 이는 지난해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감나무골 재개발 아파트 분양가(3.3㎡당 1490만원)보다 2배가량 높다. 이대로 확정되면 역대 전북 지역 아파트 최고 분양가가 된다. 30억원짜리 아파트도 나올 수 있다.

━
시민단체 “특혜…분양가 낮춰야”
이에 대해 전은수 ㈜자광 회장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분양가를 일부러 비싸게 책정하려는 게 아니라 그간 행정 절차가 늦어지면서 물가 인상 등으로 공사 원가가 상승한 측면이 있다”며 “아파트도 자동차처럼 각자 소비 성향과 소득 수준에 따라 선택할 자유가 있다”고 반박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현재 사업 계획서를 검토 중이어서 분양가를 평가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며 “해당 부지가 분양가 상한 대상은 아니지만 차후에 공동주택 분양가심사위원회를 열어 택지비·건축비와 지역 주택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해 분양가를 적정하게 책정했는지 꼼꼼히 따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와 ㈜자광은 지난해 12월 30일 ‘공공 기여 및 사업 시행 협약’을 맺었다. ㈜자광이 옛 대한방직 부지 용도 지역 변경에 따른 토지 가치 상승분 전액과 전주시립미술관 건립 등 지역 사회 공헌 사업을 반영한 3855억원 상당의 현물·현금을 전주시에 납부하는 게 핵심이다.
김준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