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전주 마지막 노른자땅 특혜냐" 평당 3000만원 고분양가 논란

12일 전북 전주 '마지막 노른자 땅'이라 불리는 효자동 옛 대한방직 터를 맞은편 전북특별자치도 청사에서 바라본 모습. 김준희 기자


㈜자광,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 신청

전북 전주의 ‘마지막 노른자 땅’이라 불리는 효자동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 사업이 올해 하반기 본격화할 전망이다. 최종 사업 허가만 남겨두면서다. 2017년 ㈜자광이 해당 부지를 1980억원에 사들인 지 8년 만이다. 그러나 첫 삽도 뜨기 전에 ㈜자광 측이 검토 중인 아파트 분양가가 3.3㎡(1평)당 최고 3000만원으로 알려지면서 고분양가 논란에 휩싸였다.

전주시는 14일 “옛 대한방직 부지에 ‘관광타워 복합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자광이 지난달 21일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을 신청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 계획 승인 여부는 오는 6~7월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감리자 지정과 입주자 모집 공고, 착공 신고 등을 거쳐 이르면 오는 9~10월 착공과 함께 주택을 분양, 2030년 상반기 준공하는 게 ㈜자광 목표다.

우범기(왼쪽) 전주시장과 전은수 ㈜자광 회장이 지난해 12월 30일 전주시청 4층 회의실에서 '옛 대한방직 부지 개발 사업 추진 공공 기여 및 사업 시행 협약'을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 전주시 ㈜자광이 공개한 옛 대한방직 터 개발 구상이 담긴 청사진. 사진 ㈜자광


“평당 2500만~3000만원 검토”

사업 시행사인 ㈜자광은 도유지·시유지를 포함한 23만565㎡(6만9700평) 부지에 6조2000억원을 들여 470m 높이 153층 타워(놀이시설 포함)를 비롯해 15층 5성급 호텔(200실), 49층 아파트 10개 동(3395세대), 34층 오피스텔 1개 동(558세대), 5층 복합쇼핑몰 등을 지을 계획이다. 축구장 32개 크기다. 주상복합아파트는 114.8㎡(34.72평)~321.3㎡(97.21평) 등 중대형 평수다. “타워 상층부를 상시 공연장과 이색 화장실 등으로 꾸며 ‘전주 랜드마크’로 만들고, 타워에서 ‘파노라마 뷰(360도 경치 감상)’가 가능하고 50㎞가량 떨어진 새만금 지구까지 볼 수 있다”는 게 ㈜자광 측 설명이다.

이원 ㈜자광 부사장은 “공사 기간 4만명에 달하는 일자리 창출과 준공 후에도 3000명 규모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 유발 효과가 예상된다”며 “현재 시공사 3~4곳과 협의 중이며, 다수 전문가는 아파트 적정 분양가로 3.3㎡당 2500만~3000만원을 제시하고 있다”고 했다. 이는 지난해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감나무골 재개발 아파트 분양가(3.3㎡당 1490만원)보다 2배가량 높다. 이대로 확정되면 역대 전북 지역 아파트 최고 분양가가 된다. 30억원짜리 아파트도 나올 수 있다.

한승우 전주시의원이 14일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전북환경운동연합과 기자회견을 열고 "우범기 시장은 취임 이후 ㈜자광의 뒷배를 자처했다"며 "용적률 상향으로 개발 사업에 날개를 달아준 건 명백한 특혜"라고 비판하고 있다. 사진 전북환경운동연합


시민단체 “특혜…분양가 낮춰야”

이 때문에 “터무니없이 높은 분양가는 전주권 집값 상승 등 지역 전체 부동산 시장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승우 전주시의원과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범기 시장은 ㈜자광의 ‘소원 수리’나 마찬가지인 도시계획조례 용적률 상향으로 개발 사업에 날개를 달아줬다”며 “명백한 특혜”라고 비판했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개발 이익을 극대화한 만큼 ㈜자광의 아파트 분양가가 높아야 할 이유는 없다”며 전주시에 공적 개입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은수 ㈜자광 회장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분양가를 일부러 비싸게 책정하려는 게 아니라 그간 행정 절차가 늦어지면서 물가 인상 등으로 공사 원가가 상승한 측면이 있다”며 “아파트도 자동차처럼 각자 소비 성향과 소득 수준에 따라 선택할 자유가 있다”고 반박했다.

전북 전주시 효자동 옛 대한방직 터. 이곳에서 '관광타워 복합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자광이 지난달 21일 전주시에 주택건설사업 계획 승인을 신청했다. 김준희 기자
㈜자광 측은 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코로나19 시기 이전 대비 공사비 50% 상승 ▶사업 지연에 따른 금융 비용(약 1800억원) 증가 ▶타 지역(20%~50%)보다 높은 공공 기여금 환수 비율(100%) 등을 꼽았다. 전 회장은 “지역이든 수도권이든 사업자가 법령에 맞춰 사업 계획을 가져가면 지자체는 이를 신속히 검토해 ‘된다, 안 된다’를 판단해야 하는데 7년 넘게 미적거리다 보니 금융 비용 등은 계속 늘어 결국 모든 부담이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것”이라며 “서울 타워팰리스처럼 전북에서 제일 멋있는 아파트를 만들려고 하는데 일부 시민단체가 무조건 가격만 낮추라고 하니 퇴직 후 고향에 내려와 살고 싶어하는 출향민이나 고품질·고품격 아파트를 원하는 사람은 불만이 쌓이고, 외부 투자자는 ‘사업 진행이 안 돼 애먹는 것 아니냐’며 투자에 머뭇거린다”고 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현재 사업 계획서를 검토 중이어서 분양가를 평가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며 “해당 부지가 분양가 상한 대상은 아니지만 차후에 공동주택 분양가심사위원회를 열어 택지비·건축비와 지역 주택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해 분양가를 적정하게 책정했는지 꼼꼼히 따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와 ㈜자광은 지난해 12월 30일 ‘공공 기여 및 사업 시행 협약’을 맺었다. ㈜자광이 옛 대한방직 부지 용도 지역 변경에 따른 토지 가치 상승분 전액과 전주시립미술관 건립 등 지역 사회 공헌 사업을 반영한 3855억원 상당의 현물·현금을 전주시에 납부하는 게 핵심이다.



김준희([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