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복룡의 신 영웅전] 내 마음의 스승, 조재관 교수의 추억

연희대학 3학년 때 외무고시에 합격했으나 벼슬길로 나가지 않았다. 공부할 때 졸음이 오면 잠을 쫓으려고 면도날로 손가락을 베었고, 상처가 덧날까 봐 촛불로 다시 지졌다.

어느 학기에는 서대문 봉원사 밑의 영단주택으로 소년을 불러 원고를 정리하게 했다. 쉬는 시간에 교수님은 장롱에서 모조지 반절 크기의 족자를 꺼내셨다. 글씨가 검붉었다.
혈서였다. 글씨는 ‘太平洋(태평양)의 燈臺(등대)’였다. 소년은 전율했다. 그리고 공부란 얼마나 지독하게 해야 하는지, 인생은 얼마나 치열하게 살아야 하는지를 배웠다.
연세 51세에 암이 찾아왔다. “주님, 저를 대신 데려가소서.” 울며 기도하는 노(老) 권사님들의 애원도 보람없이 그해 향년 51세로 세상을 떠나셨다. 여한이 많았을 것이다. 교수님은 임종에 앞서 대강당에 제자들을 모아놓고 고별 강의를 했다. 그분은 “여기 조약돌로 진주를 빚으려 애쓰며 살다 간 천석(天石) 조재관 잠들다”라는 묘비명을 소년에게 불러 주셨다. 오늘 스승의 날, 지금 그 소년이 울먹이며 이 글을 쓴다.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