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재의 사람사진] 북토크 최강자들 매주 초대
━
표문송의 별난 '문예북흥'

은평역사한옥박물관과 이호철북콘서트홀을 이끄는 표문송 관장을
취재해 달라는 요청을 여러 경로를 통해 받았다.
추천인들은 하나같이 그가 만든 ‘문예북흥’을 추천 이유로 들었다.
문예부흥이 아니라 북(book)을 쓴 ‘문예북흥’,
서울 은평구 이호철북콘서트홀에서 매주 열리는 북 토크의 타이틀이며,
현기영· 황지우· 강헌· 윤광준· 유홍준 등 각 분야 최고수들이 강연자였다.
표 관장이 문학관을 북콘서트홀로 정하고 ‘문예북흥’을 만든 이유는 뭘까.

" 이호철 작가의 부인께서 “곰팡내 나는 곳으로 만들지 말라”고 하셨어요. 문학관 기능을 하면서 사람 발길 끌 해결책으로 ‘문예북흥’을 구상했죠.중세의 어둡고 힘든 시기를 지나 르네상스를 이룬 문예부흥처럼 책을 통해 이룰 ‘문예북흥’을 말입니다.이는 작가, 독자, 지역민, 출판사나 서점 넷이 함께하는 문학 사중주,예술 4중주를 하자는 의미의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책을 읽지 않는 시대에 과연 북 콘서트는 그의 뜻대로 될까.

" 실내에 거의 30명 들어가는 북 토크 룸을 만들었습니다만, 사람이 100명 넘을 경우를 대비하여 문학관이 대형 홀로 변신하게 했죠. 지난해 11월 30일 개관 후 지금까지 대형 홀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
입소문을 탄 터라 예매 창구가 열리자마자 예매 완료가 되는 상황이다.
![북 토크에 10번 참석한 참가자을 기념하는 ‘문예북흥러버’포스터. '감각파 문예북흥러버 신정애, 감 떨어지지 않으려다 [문예북흥]에 빠지다. 감동 감탄 감각 감격에 빠지다.' 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5/15/30bafc3c-415f-4c6a-ae75-0edba539a78a.jpg)
" 강연자로 나서는 분을 ‘문예북흥러’라고 하고요.10번 온 참가자를 ‘문예북흥러버’라고 하여 명예의 전당을 만들었어요. 이 ‘문예북흥러버’의 한 마디가 바로 마케팅으로 이어집니다. ‘소수가 열광하는 것만이 미래가 있다’는 마케팅 철학이 들어맞는 경우죠. "
문예북흥은 매주 총 52회 열 작정으로 지난해 11월 30일 개장했다.
이는 공공기관의 적은 예산으로 초반에 승부를 보려는 표 관장의 전략이다.

" 하려면 화끈하게 1년, 12달 중 한 주도 안 빼기로 했어요.첫 골든 타임을 살려야죠. 그래서 지금 달리고 있는 겁니다. "
결국 1년간 문예북흥을 하는 건 누구에게나 공간 활용법을 알려주는 일이다.
문만 열어 놓으면 누구나 와서 북(Book)흥을 누릴 수 있는 플랫폼이 되게끔.
권혁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