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개혁 외쳤지만…큰그림 안 보인 李, 청년층에 쏠린 金 [대선공약 검증]

이재명 후보는 기초연금 부부 삭감 완화, 소득 있는 연금수급자 삭감 완화 등 세부 정책에 집중한다. 구조개혁과 관련해서는 "지속 추진"이라고 원론적 수준의 언급에 그쳤다. 2022년 대선과 비슷한 기조다. 이 후보는 현재 가동 중인 국회 연금특위 논의와 연계해서 '기초-국민-퇴직연금'의 다층체계 구축이라는 구조개혁 방침을 확대 공약집에 담을 것으로 보인다.
━
모수개혁 이은 세부정책 낸 이재명
기초연금 부부 삭감 완화는 좀 따져봐야 한다. 현재 부부가 받으면 20% 깎는데, 이를 줄이거나 없앤다는 것이다. 1월 기준 681만명 수급자 중 256만명(37.6%)이 감액된다. 이걸 없애면 연 2조1000억원이 필요하다. 김용하 순천향대 IT금융경영학과 교수는 "이 후보가 지난 3월 모수개혁으로 연금개혁이 어느 정도 이뤄졌다고 보고, 기초연금을 좀 만져서 보완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18세 생애 첫 연금보험료 지원 공약도 논란이다. 이렇게 내주면 나중에 안 낸 보험료를 추후납부(추납)할 길이 열린다. 또 장애·유족연금 대상이 된다. 가입 기간을 늘려 노후연금을 늘리는 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재명 후보가 2018년 경기도지사 시절 추진하다 당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사회보장 근본 원칙에 어긋난다"고 반대하면서 좌초됐다. 오건호 위원장은 "연금이란 게 소득이 있을 때 가입하는 것"이라며 "취지는 이해하지만 제도를 활용한 편법이다. 제대로 홍보해서 가입을 유도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성실 납부를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을 수도 있다.
━
'청년안심 연금개혁' 미는 김문수
그러나 김 후보 공약은 3월 모수개혁이 청년에게 불리하다는 편향된 전제를 깔고 있다. 올린 보험료가 젊은 세대에게 불리하게 보일 수 있지만 올린 소득대체율은 유리하게 작용한다. 출산·군 크레디트를 확대한 점도 청년에게 유리하다. 다만 김 후보가 '청년 안심 개혁'을 강조한 것은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뜻하는 듯하다.
이를 위한 게 자동조정장치(인구·수명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연금 감액) 도입 공약이다. 기금 고갈 시기를 3~14년 더 늦춘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국이 시행한다. 그래도 반대가 만만찮다. 양재진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초저출산으로 생산인구가 급격하게 주는데 자동장치로 연금액을 깎게 되면 인하 폭이 너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연금이 안정된 선진국과 액수가 많지 않은 한국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
신·구 연금 분리 내세운 이준석
이준석 후보의 신·구 연금 분리는 지난해 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안한 안이다. 개혁 시점 이전의 문제투성이를 떼내고,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자는 것인데 장벽이 만만찮다. 구연금의 막대한 부채(2231조원, KDI는 609조원으로 추산)를 예산으로 메워야 한다. 소득대체율 40%일 때 신연금의 보험료율을 15.5%로 올려야 한다. 이준석 후보는 자동조정장치를 조기에 시행해 연금지급 증가 속도를 억제해 국고 투입을 최소화하겠다고 공약했다.
김상균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는 "연금 분리는 이행 경비가 너무 크다. 그 정도 돈을 들여 신연금을 도입하느니 현 제도를 개혁하는 데 쓰는 게 돈이 덜 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행 경비도 결국 젊은 세대가 물게 될 텐데, 젊은 세대를 위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신성식.이에스더([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