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산불 피해지역 관광 오면 전세버스비는 경북이 쏜다

지난 3월 28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인근 한 공장이 산불로 인해 폐허가 되어있다. 김종호 기자
지난 3월 경북 북부지역에 역대급 피해를 낳은 ‘괴물 산불’의 2차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안동·영덕·영양·의성·청송 등 산불 피해 지역에 관광객 발길이 뚝 끊기면서 지역 경기에도 불똥이 튀면서다.

경북도와 경북문화관광공사는 산불 피해가 난 5개 시·군의 조기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버스타고 경북관광’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30명 이상 단체 관광객이 산불 피해 지역을 방문하면 버스 임차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버스 임차비 최대 80만원 지원

지원 대상은 5~6월 중 5개 피해 지역을 1곳 이상 방문하는 30인 이상 단체 관광객이다. 기관은 물론 일반 단체, 여행사까지 모두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여행 지역 내에서 숙박비와 식비, 입장료 등으로 30만원 이상 지출을 해야 하며 참가자 전원의 여행자보험 사전 가입도 필수다.

버스 임차비는 지역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대구·경북권은 60만원, 수도권(서울·경기)은 80만원, 기타 지역은 70만원이다. 신청은 16일 오전 10시부터 경북도 또는 경북문화관광공사에 안내된 온라인 접수처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선착순 접수이며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된다.

경북도는 이번 버스 임차비 지원 외에도 피해 지역을 대상으로 ‘Oh! 한바퀴 경북’ 기차여행 상품, 기부 천사 여행 상품, 숙박할인 특별편 프로모션, 각종 인센티브 집중 투입, 홍보마케팅 강화 등 다각적인 관광 회복 지원책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달 1일 안동구시장 찜닭거리에 손님 발길이 뚝 끊겨 한산하다. 김정석 기자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불 피해 지역을 찾아주는 하나하나의 발걸음이 지역민에게는 큰 힘이 된다”며 “이번 사업이 관광을 통해 피해 지역과 이재민을 돕는 ‘착한 품앗이 관광’의 시작점이 돼 더 많은 단체가 동참함으로써 피해지역의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산불 복구비 1조8310억원 달해

한편 경북도에 따르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최종 확정된 복구비는 국비 1조1810억원과 지방비 6500억원 등 총 1조8310억원이다. 모두 피해 주민들의 주거·생활 안정과 생업 복귀 등에 투입된다.

분야별로는 산불로 전소된 주택에 대해서는 기존 지원금과 추가 지원금, 기부금을 포함해 최소 1억원 이상 지원받을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추가로 지원하는 6000만원은 그동안 정부에서 최대로 상향 지원했던 금액(2000만원)의 3배에 달한다.

산불로 소실된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지원 단가를 현실화하고 지원율을 상향했다. 피해가 극심한 6개 농작물(사과·복숭아·단감·체리·배·마늘)은 지원 단가를 실거래가 수준으로 100% 현실화하고 지원율 또한 종전 50%에서 100%로 상향했다.
장미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지난달 24일 산불 피해지역인 경북 안동에서 관계자들과 하회마을 피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문화체육관광부

농번기를 맞아 시름에 잠긴 농민들을 위해 농기계 피해 지원 품목은 기존 11종에서 38종 전 기종으로 확대하고 지원율을 기존 35%에서 50%로 상향했다. 농축산시설도 지원율을 종전 35%에서 45%로 높였다.

경북도는 확보된 국비예산은 성립 전 예산사용 제도를 적극 활용, 우선 집행해 대응하는 한편 중앙재난대책본부 복구계획에서 누락돼 피해를 보는 도민들이 없도록 자체 가용재원을 활용해 추가 지원사업을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김정석([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