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단일화 거부’ 이준석 “김용태 만날 생각없다. 김용태 할일 없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진행한 '학식먹자 이준석' 행사에서 식판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15일 단일화를 위해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전혀 만날 생각이 없다”며 “김 위원장이 할 일이 없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KBS 라디오에서 “계엄 사태에 책임이 있는 정당이 단일화를 운운하면서 대선에 대한 정치공학적 요구를 하는 것 자체가 국민에게 계속 지탄받을 일”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며 “이제 고쳐 쓸 수 없는 상태가 됐다”고도 했다. 이 후보는 전날 부산 유세 도중 국민의힘에 대해 “갖다 버려야 한다”고도 직격했다.

국민의힘은 같은 보수 진영의 대선후보인 이 후보와의 단일화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날 비상대책위원장에 임명된 김용태 의원을 당의 지도자로 발탁한 것도 단일화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은 과거 이 후보가 국민의힘 대표이던 시절 친이준석계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 멤버 중 한 명이었다.

이날 서울 지역을 훑은 이 후보는 국민의힘을 향한 작심 비판을 이어갔다. ‘학식 먹자’ 행사로 서울교대를 방문한 이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그 당의 경선이 끝난 직후부터 거의 단일화무새(단일화+앵무새)가 아닐까 할 정도로 똑같은 말만 반복하고 있다”며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로 득을 본 게 있다고 생각하는지 굉장히 착각이 심한 것 같다. 단일화로 여론조사상 과반 이상의 득표가 나오는 이재명 후보를 막아 세울 수 있겠다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스승의 날인 15일 서울역 공간모아에서 열린 '서이초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이 후보는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향해서도 날이 선 발언을 쏟아냈다.

이 후보는 페이스북에 “보궐로 급박하게 일정이 잡힌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많은 유권자에게 자신의 공약과 정책을 어필할 수 있는 토론을 이재명 후보가 회피하는 것은 침대축구를 하나의 전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이 후보는 또 다른 페이스북 글에선 “입을 열 때마다 본인에 대한 낙선운동을 가열차게 하고 계신다”며 “헌법재판소 판결이 8 대 0으로 나왔다면 그 결과에 승복하고 본인들이 잘못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상적인 사고 방식”이라고 김 후보를 직격했다. 김 후보가 이날 “헌재 판결이 8대0인데, 박근혜 전 대통령 때도 8대0이었다”며 “김정은이나 시진핑 같은 (지도자가 통치하는) 공산국가에서 그런(만장일치 판결을 하는) 일이 많다”고 주장한 걸 비판한 것이다.

이날 스승의 날을 맞아 이 후보는 교육계를 공략했다. 서울교대 학생들과 학식을 먹은 뒤 대한초등교사협회를 만난 그는 “교육이 교육의 영역에 그치는 게 아니라 자꾸 보육의 영역에 해당하는 것들이 넘어오는 것을 하나의 포퓰리즘으로 규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교사들이 본인에 대한 민원에 접근하는 경우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사 소송 국가 책임제 ▶교사에 대한 허위신고·무고 처벌 강화 ▶교육 서비스와 민원 응대 분리 등의 공약을 제시했다.

교정시설 관련 공약도 발표했다. 노역을 강화해 교도소 수용이 생계 수단으로 인식되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구체적으로 ▶농업·기계·디지털 등 고강도 산업형 교도 작업 체계로 전환 ▶교정공무원 보호를 위한 악성민원 차단 ▶노역 수익을 정신건강 상담 비용으로 환류하는 내용 등을 제시했다.



장서윤([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