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위한 희생양” vs “해운 백년대계”...李가 쏜 HMM 이전 논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4일 쏘아 올린 HMM 본사 부산 이전안에 해운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HMM은 민간기업이지만, 15일 현재 산업은행(36.02%), 한국해양진흥공사(35.67%), 국민연금(5.17%) 등 지분 76.86%를 정부 측이 보유하고 있다. 정부 주도 하에 HMM 본사를 서울 여의도에서 모항이 있는 부산으로 이전하는 게 불가능한 일이 아니란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업계에서는 “민간기업의 이익을 침해한다” “해운업 양성을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국내 최대 국적 해운사인 HMM은 선복량 91만3867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글로벌 8위 규모다. 지난해 해운업 호황으로 영업이익 3조5128억원(영업이익률 30%)을 내며 코로나19 이후 역대 세번째 호실적을 기록했고 올해 1분기 영업이익(6139억원)도 전년 동기 대비 51% 늘었다. 2016년 해운업 구조조정 당시 산업은행의 지원을 받으며 채권단 관리 하에 경영 정상화를 추진했다. 2020년엔 사명도 현대상선에서 HMM으로 바뀌었다.
━
“부산에 해운 클러스터를” vs “고부가 사업은 서울서”

하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찮다. HMM 본사는 고부가가치 화물 유치와 해상운송 네트워크 확보를 위해 주요 화주와 접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서울의 금융·인적 인프라를 이용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글로벌 2위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는 본사를 대규모 항만과는 거리가 있는 정책·금융 중심지 코펜하겐에 두고 있다. 일본 3대 선사(NYK·MOL·K라인)의 컨테이너선 부문 통합 선사인 일본 ONE은 2017년 출범 때 글로벌 물류 허브인 싱가포르를 본사 소재지로 선택했다. 익명을 원한 한 해운사 임원은 “글로벌 해운사는 효율성을 기준으로 본사를 정하는데, HMM 이전 논의는 효율성이 배제된 측면이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
HMM 육상노조 “이전 반대” vs 민주당 “설득할 것”

정성철 HMM 육상노조위원장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본사 이전은 직원들의 생계가 달린 문제인데, 육상·해상노조 통틀어 민주당에서 의견을 물어온 적이 전혀 없다”며 “가족과 생이별할 수 있는 문제를 직원과 상의 없이 추진하는 건 문제”라고 했다. 이에 전재수 의원은 “주거 지원 등 부산 이전 시 직원에게 필요한 모든 것들을 지원할 것”이라며 “충분한 설득과 준비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했다.
━
HMM 매각, 더 어려워지나
하지만 사내유보금이 투자, 리스크 대비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쓰일 경우 기업가치가 떨어져 향후 채권단의 지분 매각이 더 어려워질 것이란 지적도 있다. 지난해 2월 하림-JKL파트너스컨소시엄의 HMM 인수가 무산된 원인 중에는 산업은행·해진공이 “(하림 측에) 사내유보금 사용 목적을 제한하라”고 요구한 것도 있었다. 하림 측이 인수후 HMM의 유보금을 인수자금으로 전용할 수 없도록 차단하겠다는 명분이었다.
이종천 숭실대 명예교수(전 한국회계학회장)는 “HMM 구조조정을 위해 투입된 약 7조원의 공적 자금 회수를 위해선 본사 이전보다 민영화가 우선”이라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민간 기업을 희생양 삼아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김효성([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