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명사수, 한국신 탕탕!

김우림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처음 총을 잡았다. 청각장애를 가진 장애인 사격선수 누나(김고운·30)를 따라서다. 그는 “누나는 열병을 앓아 청력을 잃었지만, 난 태어날 때부터 들리지 않은 선천적 장애”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막이 아예 죽어 소리를 못 들을 뿐, 균형을 잡아주는 달팽이관은 멀쩡하다”며 “사격 경기 때 노래를 크게 튼다. 청인(비장애인)과 달리 난 잘 안 들려 집중하기 좋다”고 말했다.
김우림은 사회화를 위해 수화를 배우지 않았다(인터뷰는 필담과 지화로 진행했다). 어린 시절 또래 아이들이 그의 어눌한 말과 입 모양을 흉내 내며 놀렸다. 한때 장애를 원망했지만, 사격을 시작하고 중학교 2학년쯤 되자 평정심을 알게 됐다. 장애에 대해 “불편하지만 불행하지 않다”는 그는 “팀 기반 온라인 슈팅게임 ‘오버워치’는 의사소통이 중요한데, 난 말 없이도 그랜드 마스터(최상위 티어)”라며 웃었다.

대구광역시장배는 국가대표 선발전을 겸했다. 현재 장애인 국가대표인 김우림이 비장애인 국가대표까지 겸할 수도 있다. 7개 비장애인 대회에서 상위 4위 안에 들면 된다. 그럴 경우 올해 세계선수권(11월 6~18일, 이집트 카이로)에 출전했다가 곧바로 데플림픽(11월 15~26일, 일본 도쿄)에 나가는 모습도 볼 수도 있다.
김우림의 카카오톡 프로필명은 ‘attendre et esperer’, ‘기다려라. 희망을 가져라’라는 뜻의 프랑스어다. 그의 좌우명이기도 하다. 그가 희망을 갖고 기다리는 건 올림픽이다. 그는 “일반(비장애인) 국가대표는 높은 벽이지만, 고생한 엄마한테 2028년 LA올림픽 금메달을 안겨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보험영업으로 자신과 누나를 키운 홀어머니(노은미·53)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간직하고 산다. 그의 귓가로 코팅이 벗겨지고 테이프가 덕지덕지 붙은 보청기가 보였다. 인공와우수술을 받은 6살 때 어머니가 큰돈(2000만원)을 들여 사주셨다. 그는 “새 보청기는 내 손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명사수’ 김우림
나이 27세(1998년생)
가족 어머니 노은미, 누나 김고운(30·장애인 사격선수)
종목 사격 10m 공기소총
장애 청각장애 2급
기록 일반부 개인(635.2점)
단체 한국신(1893.4점)
데플림픽 세계신(625.1점)
가족 어머니 노은미, 누나 김고운(30·장애인 사격선수)
종목 사격 10m 공기소총
장애 청각장애 2급
기록 일반부 개인(635.2점)
단체 한국신(1893.4점)
데플림픽 세계신(625.1점)
박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