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렇게 4500조원 챙겼다, 중동서 선보인 '트럼프 거래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제·안보 패키지딜’을 통해 중동 3개국 순방에서 3조 2000억 달러(약 4462조원)의 대미 투자 약속을 받아냈다고 주장했다. ‘오일 머니’를 내세운 중동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투자액을 늘리면서 당초 기대했던 2조 달러를 훌쩍 뛰어 넘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의 알 우데이드 공군 기지를 방문해 군사용 드론 앞에서 미군을 상대로 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원스톱 쇼핑”을 언급하며 한국과 무역·안보 문제를 함께 협상할 뜻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번 중동 순방에서 노출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전략은 다음달 3일 대선으로 출범할 한국의 차기 정부에도 참고가 될 거란 관측이 나온다.




‘뻥튀기’ 논란 속 ‘베팅 경쟁’ 부추긴 트럼프


15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밝힌 중동 3개국의 총 경제협력 약속 규모는 3조 2000억 달러에 달한다. 그런데 투자 규모는 순방을 거듭할 때마다 계속 늘어났다.


첫번째 방문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6000억 달러(약 853조원)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자, 두번째 방문국 카타르는 1조 2000억 달러(1671조원)을 투자하겠다며 ‘베팅 금액’을 2배로 늘렸다. 4억 달러(5572억원)짜리 초고가 항공기 선물은 ‘덤’이었다. 그러자 세번째 방문국인 아랍에미리트(UAE)의 투자 규모는 1조 6000억원(2228조원)이 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황금 메달을 바라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런 천문학적인 오일 머니 유치 성과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유치했다고 주장한 투자금의 일부는 이미 진행 중이던 사업”이라며 백악관이 공개한 투자유치 규모가 일부 과장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NYT의 분석에 따르면 백악관이 공개한 6000억 달러의 사우디의 투자금 가운데 기존 투자 계획을 제외할 경우 신규 투자 유치 규모는 2830억 달러로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



“투자금 경쟁은 향후 협상 가이드라인”


외교소식통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첫 순방지로 택한 중동 국가는 막대한 오일 머니를 보유한 왕정 또는 준(準) 왕정국가”라며 “이른바 ‘뻥튀기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론의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중동 국가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경쟁적으로 제공한 ‘선물 보따리’는 향후 주요국과의 협상에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황금색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를 둘러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그는 이어 “특히 중동 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 협력을 고리로 대규모 투자 약속을 받았다는 것은 방위비 분담 이슈를 가지고 있는 한국을 비롯한 일본과 유럽 주요국들에게는 의미 있는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중 “나는 영원한 적(敵)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며 과거 1000만 달러(약 140억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던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과 회동했다. 지난달 군사행동 가능성까지 거론했던 이란을 향해서도 “과거의 갈등을 끝내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준비가 돼 있다”며 유화적 입장을 냈다.




트럼프식 실리 외교…北核에 적용한다면?


영국의 더타임스는 이와 관련 “알샤라 대통령이 천연자원 개발과 관련한 광물협정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했다”며 시리아와의 급격한 관계 개선이 실리에 초점을 둔 트럼프식 ‘거래의 법칙’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2019년 2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호텔에서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AFP=연합뉴스
그러나 이러한 실리 외교가 사실상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에도 적용될 경우 상황이 복잡해진다. 가시적 외교 성과가 필요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완전한 비핵화를 요구하는 대신 핵무기 보유를 사실상 인정하고 대신 미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제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 등은 이미 북한을 여러차례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무기를 가진 나라)’로 지칭하며 북한의 핵을 사실상 용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왔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비롯해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 등 정책적 우선순위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휴전에 전향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최소한 올해 안에는 전선을 북한으로 확장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의 돌발적 성격 때문에 모든 예측엔 불확실성이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휴전 난항…트럼프 “내가 나서야 해결”


실제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은 다시 난항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순방 기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협상이 진행될 튀르키예에 올 경우 자신이 직접 3자 정상회담을 통해 휴전을 이끌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푸틴 대통령은 결국 불참을 통보했다. 이 바람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3년 만의 첫 직접 협상의 첫날 일정도 불발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부터)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FP=연합뉴스
특히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크렘린궁 부좌관을 수석대표로 보내며 협상단의 ‘급(級)’을 낮췄다. 로이터는 “러시아가 ‘2급 대표단’을 보냈다”며 휴전 협상에 진정성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특히 휴전을 요구하는 우크라이나와 달리 “이번 회동은 2022년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가 언급한 3년 전 협상은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항복 선언에 가깝다.

그러자 중동 순방 내내 전쟁의 조기 종식 가능성을 언급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UAE로 이동하는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나 “푸틴과 내가 만나기 전까지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휴전협상이 난항에 빠진 상황을 돌파하기 보다는 오히려 현 상황을 활용해 자신의 외교적 ‘몸값’을 올리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강태화([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