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만난 러-우크라, 악수도 안했다…90분간 이견만 확인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5분(한국시간 오후 7시 35분) 시작된 회담은 약 90분 만에 종료됐다. 이스탄불 돌마바흐체 궁전 대통령 집무실에서 열린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좌측, 러시아 대표단이 우측, 그사이 중재를 맡은 튀르키예 대표단이 자리했다. 러시아 측에선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크렘린궁 보좌관이, 우크라이나 측에선 루스템 우메로프 국방장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무장관이 회담을 중재했다.
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전쟁 포로 각 1000명씩을 교환하는 데 합의했다. 메딘스키 보좌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며칠 안에 '1000 대 10000' 형식으로 포로를 교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메로프 장관도 RBC-우크라이나 방송에 포로 교환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한 우크라이나 고위 관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군이 영토를 포기하고 완전한 휴전을 이행하라는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리는 "러시아 대표단이 오늘 회담에서 아무런 결과도 얻지 못한 채 물러나기 위해 일부러 권한도 없는 사람들을 내세운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반면 러시아 대표단 수장 메딘스키 보좌관은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간의 직접 협상을 요청했고, (우리는)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또 메딘스키 보좌관은 "협상 결과에 만족한다. 우크라이나 측과 휴전안을 교환하며 협상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라고도 말했다.
━
우크라 "러, 시간 벌고 쇼하려고 회담"

당초 협상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불참으로 3국(미·러·우)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은 데다, 전날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장외 신경전을 벌이다 협상을 미루기까지 했다. 영토나 안보보장 등에서 양측의 입장차도 극명하게 걸렸다.
실제로 이날 회담을 시작할 때 양측은 서로 악수를 하지 않았다. CNN은 소식통을 인용해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통역사를 통해 러시아 측과 대화했다"며 "우크라이나에선 러시아어가 널리 쓰이지만 이는 두 나라 간 적대감을 암시한다"고 전했다.
회담에 앞서 미국과 러시아,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의 만남도 각각 이뤄졌다. BBC는 마이클 앤톤 미 국무부 정책기획국장이 메딘스키 보좌관과 회담했으며,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포함된 미국 대표단이 우크라이나 대표단과 만났다고 전했다. 루비오 장관은 "살인을 멈춰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고 밝혔다. BBC는 우크라이나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가 미국이 회담에 참석하지 말라고 요구했다"며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가 이 회담을 시간을 벌고 쇼하는 데 이용했다고 비난했다"고 전했다.
이날 유럽 정치공동체(EPC) 정상회담 참석차 알바니아 수도 티라나를 방문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최우선 과제는 무조건적인 휴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대표단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푸틴이 전쟁을 끝내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걸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이 실패할 경우 세계 지도자들이 강력히 대응해야 하며, 미국이 최대치로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준비되는 대로 만나겠다"고 밝혔다. 중동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탄불 회담이 진전되면 자신도 협상장에 가겠다고 밝혀 3자 회담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불참으로 불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과 내가 만나기 전까지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
양측 차관급 파견…협상 목표 입장차

하지만 푸틴 대통령이 불참을 공식화하고 대표단을 파견하자, 젤렌스키 대통령도 이스탄불에 가지 않겠다면서 맞불을 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5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회담한 뒤 "푸틴을 찾아 전 세계를 돌아다닐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로부터 무례함을 느낀다. 회담 시간도, 의제도, 고위급 대표도 없다. 이는 에르도안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도 무례"라고 덧붙였다. 대신 이스탄불에 우크라이나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하면서 러·우 회담은 겨우 불씨를 살렸다.
대표단 구성을 두고도 신경전이 오갔다. 장관급이 아닌 차관·국장급으로 구성된 러시아 대표단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를 "장식용"이라고 비판하자, 러시아는 "자기 분야 최고 전문가"라며 반박했다. 우크라이나도 뒤늦게 우메로프 장관을 단장으로 해 정보 및 군·외교 당국 차관급으로 급을 맞춘 대표단을 보냈다.
협상 목표에 대해 양측은 극명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의 이행을 촉구하며 휴전 논의를 주장했지만, 러시아는 지난 2022년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다. 여기엔 당시 열세에 있던 우크라이나에 불리한 조건들이 포함돼 있어 우크라이나가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
"푸틴, 의도적으로 협상 지연시켜"

CNN은 "러시아는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협상이 진행되도록 천천히 하길 원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로 발생하는 피해보다 이들과 함께 사진을 찍을 경우 국내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함정이 더 크다고 봤다"고 전했다.
장윤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