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0만원 내야 오를 수 있다, 그래도 매년 1000명 몰리는 산

15일(현지시간)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오는 9월부터 에베레스트의 성수기 입산료가 기존 요금 1만1000달러(약 1500만원)에서 36% 오른 1만5000달러(약2100만원)가 된다. 이번 요금 인상은 약 10년 만으로, 2015년 1월 이후 처음 이뤄지는 조정이다.
에베레스트 입산료는 기간별로 달리 부과된다. 비수기인 9~11월은 7500달러(약 1000만원), 12~2월에는 3750달러(약 500만원)를 내야 입산이 가능하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14대 산 중 8개를 보유한 네팔에 입산료는 주요 관광 수입원이다. 등산과 트레킹 관련 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를 넘는다.
네팔 정부는 너무 많은 등산객의 입장을 허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었다. 네팔 정부가 한 해에 등반 허가증을 발급하는 규모는 300명 정도로, 이에 딸린 동반 등반대를 고려하면 1000여명에 이른다.
이 때문에 네팔 대법원은 에베레스트 등 여러 산에 발급되는 입산 허가증의 발급 수를 제한하라고 정부에 명령하기도 했다.
이번 입산료 인상은 지난해부터 논의됐지만 입산 수요가 줄어들지는 불분명하다.
에베레스트 정상에 18번 오른 등반가 켄턴쿨은 BBC 인터뷰에서 “입산료는 대부분의 외국 등반객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추가 수익이 잘 사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네팔 산악 협회는 “가로등이 설치되고, 텐트 안에 침대도 있으며, 멀리 떨어진 가족과 전화로 통화하는 등 지금은 지상과 다를 바 없는 방식으로 정상 등정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정상까지 이어진 로프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등 등산객의 안전을 위한 조치도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등산객이 급증하면서 사용한 산소통, 텐트, 각종 생활 쓰레기 등의 환경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한다.
네팔 정부는 늘어난 수입으로 에베레스트 등산로 정비 등 등산객 편의를 향상하는 데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네팔 군은 2019년부터 에베레스트산의 정화 작업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약 쓰레기 119t을 수거하고 시신 14구를 수습했다. 아직도 산에는 약 200구의 시신이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배재성([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