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스케치도 제목도 없는 추상화…“예술에 실수는 없다”

‘아름다운 땅’(2023) 앞의 윤종숙. 서울 창성동 리안갤러리 개인전에 걸렸다. 권근영 기자
진달래빛 벌판 왼쪽에 오렌지색 길, 그 위에 연노랑 산. 붓자국 남아 있는 색면 추상에서 묘하게 풍경이 읽힌다. 재독화가 윤종숙(60)의 ‘진달래’다. ‘구름 한 점’은 화면에 흰 구름, 회색 구름이 걸린 듯하고, ‘나의 고향’은 황톳빛 구릉 위에 시내가 흐르는 듯하다. 서울 창성동 리안갤러리에서 다음달 28일까지 여는 윤종숙 개인전 ‘봄(Bom)’이다.

윤종숙은 1965년 충남 온양(지금의 아산)에서 태어났다. 15일 전시장에서 만난 그는 “개울가 있는 집에서 자랐다. 맞은편 야트막한 산 이름이 설화산, 4월까지 꼭대기에 눈이 쌓여 있었고, 봄에는 진달래로 온통 분홍이었다”고 회상했다. 스케치도, 미리 정해둔 제목도 없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긁어내고 새로운 색을 얹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그리다 지우지만 오류·실수와는 다르다. 예술에 실수는 없다. 계획과 다른 흔적들이 작품을 강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런 즉흥성으로 밑그림 없는 벽화 작업도 즐긴다. 158㎝ 키로 사다리에 매달려 큰 붓을 휘두른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에서 9월 7일까지 열리는 ‘수채: 물을 그리다’ 전시장 곳곳에 과슈(불투명 수채) 벽화를 그렸다. 제목은 ‘아산’, 고향 풍경에 대한 기억이다.

한편 뉴욕 마리안 굿맨 갤러리는 15일(현지시간) 윤종숙을 전속 작가로 영입한다고 발표했다. 1977년 설립한 마리안 굿맨은 마우리치오 카텔란, 피에르 위그 등을 전속작가로 둔 굴지의 화랑이다. 윤종숙은 이곳 첫 한국 전속 작가다.






권근영([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