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진짜·가짜의 경계는 어디일까? MZ 작가가 던지는 질문

성해나 작가는 우연히 들어선 신당동 점집 거리에서 영감을 얻어 무당 세계의 진짜와 가짜를 묻는 이야기 ‘혼모노’를 구상했다. [사진 성해나 작가]
지난 3월 말 출간 이후 지금까지 교보문고, 예스24 등에서 국내소설 부문 베스트셀러 순위를 지키고 있는 『혼모노』(창비)에는 특별한 구석이 있다. 한강, 양귀자, 구병모 등 굵직한 이름의 베스트셀러 소설가 사이에서 빛나는, 등단 7년 차 31세 작가의 작품이라는 점이 그것이다.

책은 신기가 떨어진 30년 차 박수 무당의 이야기, 우연히 태극기 집회 노인들과 어울리게 된 재미교포의 하루, 원정 출산을 준비하는 돌싱녀 등 한국 사회 면면을 담은 7개의 단편을 엮었다. 2024·2025 젊은작가상, 2024 이효석문학상 우수상 등을 수상한 작품들이다. 저자 성해나(31)와 지난 12일 전화로 대화를 나눴다.

표제작 ‘혼모노’는 신기가 떨어진 박수무당 문수의 영업장 앞에 갓 신내림을 받은 스무살 남짓의 신참 무당이 개업하며 시작된다. 자신의 신앙이 진짜라고 믿었던 문수의 이야기에 늙은 무당과 젊은 무당 사이의 갈등을 녹였다.

“‘혼모노’는 언젠가 꼭 쓰고 싶었던 이야기였어요. 무속 신앙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어떤 이들은 점을 집착하듯 믿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완전한 사기로 여기잖아요. 무엇이 진짜고 무엇이 가짜인지, 진짜와 가짜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지 질문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는 신당동에 놀러 갔다 우연히 점집 거리에 들어서면서 스토리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고 했다. “무당들 사이의 이권 다툼은 없을까, 가짜 무당과 진짜 무당의 차이는 무엇일까 하는 상상”이 신참 무당 신애기와 박수 무당 문수 같은 캐릭터로 구체화됐다는 것.

다른 단편들도 현실과의 접점이 선명하다. 재미교포 듀이가 광화문광장에서 우연히 집회 인파에 휩쓸리며 시작되는 이야기 ‘스무드’를 쓰기 위해서 직접 집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집회 안에서만 통용되는 ‘이승만 광장’, ‘열사’ 같은 단어들을 직접 들으면서 리얼한 디테일을 얻을 수 있었죠.”

‘길티 클럽’은 아동 학대 논란에 휩싸인 유명 영화감독을 여전히 지지하는 팬들의 이야기다. ‘악마의 씨’, ‘피아니스트’ 등 걸작을 남긴 영화감독 로만 폴란스키의 아동 성범죄 사건이 계기가 됐다.

“작품과 사람, 예술과 만행을 분리해서 보는 게 저한테는 쉽지 않더라고요. 그 고민이 제 안에서 오랫동안 계속 맴돌았던 것 같아요.”

그의 글쓰기 원칙은 “나와 거리를 둔 인물”에 대해 쓰는 것. “나와 전혀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과정이 곧 소설을 쓰는 과정”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자신과 밀착된 캐릭터를 쓰는 건 결국 자신을 이해하려는 행위지만 저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행위예요. 깊어지면 과잉이 될 수도 있고요.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소설을 읽고 쓰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성해나는 요즘 독자들의 피드백을 동력 삼아 글을 쓴다. 스물다섯에 등단했지만 정작 등단 이후엔 “청탁도 없고 투고작도 반려돼 생계를 꾸리기 힘들었던 시기가 3년가량 있었다”고. ‘혼모노’도 그 시기 반려된 투고작 중 하나다.

“독자의 존재가 흐릿했을 때가 가장 힘들었어요. 책이 나오고, 독자들의 독려를 받으면서 그제서야 ‘이렇게 써도 되겠구나’ 하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홍지유([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