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탈당에도 안 움직이는 홍·한…선대위 합류 없이 각자행보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을 떠났다. 보수 진영의 잇따른 압박에도 버티던 그는 대선 첫 TV토론회를 하루 앞둔 지난 17일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며 탈당을 선언했다.윤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에서 “저는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에게 힘을 모아달라는 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지난 일주일 동안 언론의 관심이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집중되면서 김 후보의 장점과 진면목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는 내부 분석이 있었다”고 전했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을 계기로 과거 청산과 범보수 통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는 기대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내란 프레임’을 피하는 동시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와의 단일화 포석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계엄과 탄핵 등에 대한 사과를 언급하지 않은 탓에 의미가 퇴색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중립 성향의 영남 중진 의원은 18일 통화에서 “사과 없이 떠난 윤 전 대통령과 강성 집토끼를 의식한 국민의힘 수뇌부의 미온적 대처로 인해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이 마치 협의된 ‘위장 이혼’처럼 보이는 상황”이라고 했다. 당장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을 제명했어야 한다”고 고삐를 늦추지 않았고, 이준석 후보 역시 페이스북에 “이 사달에 공동책임이 있는 후보가 윤석열과 함께 물러나는 것이 이준석과 이재명의 진검 승부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내부 통합은 여전히 요원하다. ▶탄핵 반대에 대한 당의 입장 선회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절연 ▶자유통일당 등 극단 세력과의 선 긋기를 선대위 합류 조건으로 내건 한동훈 전 대표는 20일부터 독자적인 지방 유세에 나선다. 부산 수영과 강원도 원주 등 친한동훈계 지역구이거나,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윤 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를 공천 배제했던 대구 중-남, 충북 청주상당 지역 등을 찾는다. 이에 당에선 “대선 지원보단 자신의 차기 당권 준비에 집중하는 것”이란 비판이 나온다.
또 국민의힘은 탈당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선대위 합류를 요청하기 위해 이날 유상범·김대식 의원 등 홍 전 시장 경선 캠프에 몸담았던 인사를 미국 하와이에 특사로 파견했다. 이들은 김 후보의 손편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김기정([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