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김 두 후보 개헌 제안, 진정성 있는 논의로 이어져야

━
대통령 연임제, 총리 국회 추천 등 논의 촉발 기대
━
정략적 접근으로 대선 이후 흐지부지되는 일 없길
이에 대응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대통령 중임제와 불소추특권 폐지 등을 담은 개헌안을 발표했다. 특히 대선과 총선 주기를 일치시키기 위해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할 것을 제안했다. 후보들이 개헌을 약속해도 새 정부 출범 즉시 국회에서 개헌 특위를 구성해 논의를 진척해야만 실현이 가능하다. 38년 만의 헌법 개정인 만큼 새로운 시대적 가치를 담기 위한 정치권의 치열한 논쟁이 불가피하다.
1987년 개헌 이후 38년간 유지해 온 현 6공화국 체제는 대통령 직선제 정착 등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를 소화해내지 못하면서 오히려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절제된 권한을 행사해야 할 대통령은 승자독식의 권력 구조에 취해 야당과 극한 대립을 불사하는 행태가 반복됐다. 의회 권력 역시 대화와 타협의 지혜를 발휘하기는커녕 상대방 공격에만 몰두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정부 인사 탄핵 남발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6공화국 체제가 더는 유지하기 어려운 한계에 다다랐음을 보여줬다. 이번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새 권력 구조를 제안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개헌은 차기 정부에서 절실한 과제다. 87년 이후 8명의 대통령 중 4명이 구속됐고 1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국회가 탄핵소추한 대통령이 3명이고 그중 2명은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당했다. 지난달 뇌물수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고초를 겪지 않은 대통령이 단 한 명도 없다. 많은 전문가가 전직 대통령 불행의 원인을 권력 구조의 모순에서 찾는다.
개헌 공약은 실천이 더 어렵다. 문 전 대통령도 개헌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고 취임 직후 개헌 드라이브를 걸었으나 국회에서 제동을 걸자 흐지부지됐다. 이번에도 후보들이 정략적 접근으로 공약을 발표했다가 막상 대선이 끝난 뒤엔 꽁무니를 빼는 일을 반복해선 안 된다. 국민도 불행해지고 대통령도 궁지에 몰리는 악순환을 이제는 끊어내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