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주인공 모친의 특별한 5·18 “아픔만 있었는데 올핸 따뜻"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된 고(故)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84) 여사가 19일 중앙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한 말이다.
그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에 대해 “아들의 얘기를 써줘 정말 감사하다. 그 고마움을 100번 말해도 부족하다”고 했다. 문 열사는 5·18을 배경으로 한 소설 『소년이 온다』 속 주인공 ‘동호’의 실제 인물이다.
━
“엄마, 친구가 죽었어요”

문 열사는 5·18 최후항쟁일인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이 쏜 총탄을 맞고 숨졌다. 그의 사연은 『소년이 온다』에서 친구 정대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도청에 남은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가 됐다. 지난 18일 45주년 5·18 기념식에서는 문 열사와 어머니의 사연이 영상으로 재조명되기도 했다.
김 여사는 이날 소복을 입고 기념식에 참석한 뒤 아들의 묘역을 찾았다. 그는 문 열사의 묘비를 어루만지며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은 일본인 추모객들을 맞이하기도 했다. 일본 내 한국현대사연구회 소속인 추모객 20여명은 『소년이 온다』를 읽고 5·18을 참배하기 위해 광주를 찾았다.
━
일본인 추모객 눈물…“슬픔 나눠줘 감사”

그는 5·18 당시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온 아들을 마주했던 45년 전을 어제 일처럼 회상했다. 그는 “(아들이 숨진 지) 열흘이 지나서야 시신을 찾을 수 있었다. 그 모습이 너무 처참해 ‘내 아들이 맞나’ 싶었다”고 했다.
김 여사의 말을 듣고 울음을 터뜨린 후카츠 아츠코(71·여)씨는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읽고 5·18에 대한 관심이 커졌는데 김길자 어머니를 보면서 어머니의 사랑에 공감했다”며 “너무 슬프다. 내년에도 광주에 오겠다”고 말했다.
━
“올해 기념식, 슬프면서도 따뜻했다”

그는 『소년이 온다』를 쓴 한강 작가에 대해서는 “(한강 작가가) 소설을 쓰기 위해 오래전에 만나러 온 적이 있었다. 그때 재학이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그동안 5·18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광주가 노력했지만, 큰 성과가 없던 상황에서 한강 작가 덕분에 국제적인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며 “내년에는 일본뿐 아니라 더 많은 나라 사람들이 광주를 찾아 5·18을 함께 기억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최경호.황희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