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뜻밖의 파이널 포'...언더독 반란 일어난 NBA 4강 플레이오프

오클라호마시티의 PO 반란을 이끈 길저스-알렉산더. AP=연합뉴스
"뜻밖의 '파이널 포'(final four·4강)."

미국 디어슬레틱은 19일(한국시간) 확정된 2024~25시즌 미국프로농구(NBA) 플레이오프 4강(7전 4승제) 대진을 두고 이렇게 표현했다. 디팬딩 챔피언 보스턴 셀틱스, 지난 시즌 준우승 팀 댈러스 매버릭스, 스타군단 로스앤젤레스(LA) 레이커스 등 우승 후보로 꼽힌 팀들이 모조리 탈락했다. 반면 오클라호마시티 선더스, 뉴욕 닉스,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인디애나 페이서스 등 '언더독'(스포츠에서 이길 가능성이 적은 약팀)이 살아남았다. 뉴욕(1970·73년)을 제외하면 파이널(챔피언결정전) 우승이 없는 팀들이다.

오클라호마시티는 이날 열린 NBA 서부 플레이오프(PO·7전 4승제) 2라운드 7차전에서 덴버 너기츠를 125-93으로 물리쳤다. 시리즈 전적 4승 3패를 기록한 오클라호마시티는 PO 4강(서부 콘퍼런스 결승)에 진출했다. 오클라호마시티는 올 시즌 정규리그 전체 승률 1위(83%·68승14패)를 차지했으나 우승 후보는 아니었다. 단기전인 PO 경험이 적어서다. 오클라호마시티가 PO 4강에 오른 건 2015~16시즌 이후 9년 만이다. 당시 오클라호마시티는 수퍼스타 스테픈 커리가 이끄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 막혀 챔피언결정전엔 오르지 못했다. 이번엔 달랐다. 오클라호마시티는 전성기에 접어든 정규리그 득점왕(32.7득점) 가드' 샤이 길저스-알렉산더(27)를 앞세워 강팀을 차례로 무너뜨렸다. 현재 길저스 알렉산더의 상승세라면 오클라호마시티의 우승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게 현지 언론의 분석이다.

오클라호마시티는 커리가 부상을 빠진 골든스테이트를 4승 1패로 누르고 4강(21일 1차전)에 선착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파이널행을 다툰다. 미네소타는 서부의 '만년 하위팀'으로 유명하다. 지난 20시즌 중 PO에 오르지 못한 시즌이 16차례나 된다. 지난 시즌 2003~04시즌 이후 20년 만에 4강에 올랐다. 하지만 댈러스에 패해 파이널에 오르진 못했다. 미네소타엔 수퍼스타가 없지만, 베테랑 포워드 줄리어스 랜들(31)과 신예 가드 앤서니 애드워즈(24)의 팀 플레이가 위협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뉴욕 닉스 경기를 찾은 할리우드 스타 티모시 샬라메(오른쪽). 로이터=연합뉴스
뉴욕은 동부 콘퍼런스 '기적의 팀'이다. 뉴욕은 동부 정규리그 1위 보스턴을 시리즈 전적 4승 2패로 제압하는 올 시즌 PO 최대 이변을 연출했다. 이로써 뉴욕은 1999~2000시즌 이후 무려 25년 만에 4강 무대를 밟는 감격을 맛봤다. 가드 제일런 브런슨(29)이 득점과 볼 핸들링(운영)을 모두 책임진다. 4강 팀 중 전력에 약한 편에 속하는 뉴욕엔 든든한 응원군이 있다. 바로 할리우드 스타다. 뉴욕은 그동안 부진에도 티모시 샬라메, 린제이 로한, 벤 스틸러 등 많은 할리우드 스타들이 경기장을 찾아 응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뉴욕의 다음 상대는 동부 정규리그 2위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를 4승 1패로 물리치고 올라온 인디애나 페이서스다. 주로 PO 1라운드에서 탈락하던 하위권 팀이다. 2013~14시즌 이후 처음으로 4강에 올랐다. 한국 팬들에겐 '3점슛 달인' 레지 밀러가 맹활약하던 1990년대 이후 주목 받지 못할 만큼 존재감이 없었다. 2000년생 신예 가드 타이리스 할리버튼(25)이 인디애나의 주축 선수로 자리 잡으며 팀은 180도 변했다. 할리버튼이 이끄는 공격력은 4강 중 최고라는 평가다. 미국 베팅사이트는 "인디애나가 뉴욕을 이길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뉴욕과 인디애나의 첫 경기는 22일 열린다.



피주영([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