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유일무이한 김민재, 세리에-분데스 모두 주전으로 뛰며 우승 트로피 우승 차지... 다음 행선지는 PL?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이인환 기자] 김민재(29, 바이에른 뮌헨)가 한국 선수 최초로 수천 명에 달하는 팬들 앞에서 '마이스터샬레(분데스리가 우승 트로피)'를 높이 들어 올리면서 우승을 자축했다.

바이에른은 18일(한국시간) 독일 뮌헨의 마리앤플라츠에서 2024-2025시즌 우승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 나란히 챔피언에 오른 바이에른 남녀팀 선수단은 뮌헨 신시청 발코니에서 번갈아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축제를 즐겼다. 

바이에른은 지난 5일 묀헨글라트바흐전에서 2-0으로 승리하며 분데스리가 두 경기를 남겨두고 조기 우승을 확정했다. 뱅상 콤파니 감독이 새로 부임하자마자 일궈낸 통산 33번째 분데스리가 우승이다.

김민재도 커리어에 생애 첫 분데스리가 우승을 추가했다. 바이에른 2년 차에 챔피언이 된 그는 한국 선수 최초로 유럽 5대리그를 두 개나 제패한 주인공이 됐다. 김민재는 지난 2022-2023시즌 나폴리에서 세리에 A 정상에 오른 바 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2년 만에 마이스터샬레를 되찾은 바이에른이다. 바이에른은 지난 시즌 토마스 투헬 감독 밑에서 분데스리가 3위에 그쳤다. 사비 알론소 감독이 지휘하는 레버쿠젠이 분데스리가 최초의 무패 우승을 달성했고, 슈투트가르트가 막판 뒷심을 발휘하며 바이에른을 3위까지 끌어내렸다.

콤파니 감독이 부임한 이번 시즌은 달랐다. 그는 바이에른에 공격 축구를 이식하며 체질 개선에 나섰고, 초반부터 화끈한 공격력을 앞세워 선두로 치고 나갔다. 후반기엔 주축 선수들의 줄부상과 챔피언스리그 병행으로 휘청이기도 했지만, 2위 레버쿠젠도 미끄러져준 덕분에 일찍이 우승을 확정 지었다.

이날 바이에른 선수들은 팬들과 함께 거리에서 우승의 기쁨을 만끽했다. 사회자가 이름을 부르면 한 명씩 발코니로 나와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번 시즌을 끝으로 팀을 떠나는 '원클럽맨' 토마스 뮐러를 시작으로 해리 케인과 마누엘 노이어, 다요 우파메카노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김민재도 빠지지 않았다. 독일 전통복장을 입고 나온 그는 알폰소 데이비스 다음으로 나와 양 손을 흔들며 인사했다. 그런 뒤 데이비스에게 건네받은 마이스터샬레를 치켜들었다.

이는 김민재의 유럽 통산 두 번째 우승 그는 이 우승으로 한국인 최초로 유럽 빅리그(프리미어리그-분데스리가-라리가-세리에A-리그1)에서 서로 다른 두 리그 우승을 차지한 선수가 됐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앞서 김민재는 지난 2022-2023시즌 나폴리(이탈리아)에서 세리에A 우승을 차지한 최초의 한국 선수가 됐다. 특히 더욱 대단한 것은 나폴리와 바이에른에서 누가 봐도 핵심 주전 선수로 맹활약한 것이다. 두 개의 빅클럽에서 두 개의 리그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동안 주전으로 활약한 선수는 당분간 나올 확률이 낮다.

여러모로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김민재는 이제 이적설과 연결되고 있다. 바이에른은 혹사에도 헌신한 김민재에 대해서 "실수가 많다"는 이유로 다른 선수들로 대체를 꿈꾸고 있다. 여러모로 마이스터 샬레를 들어 올리고 이적이 유력한 김민재의 다음 행보가 어디가 될지 주목된다.

/[email protected]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T 월드 뉴스, 바이에른 뮌헨 소셜 미디어.


이인환([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