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아이] 재시동 걸린 희망

6년이나 멈춘 쓰촨성 청두시 수펑468 빌딩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투자사가 참여해 지난달 21일 강철 기둥을 다시 올리기 시작했다. 중국 남서부의 랜드마크로 자리할 전망이다. 경제매체 제일재경은 “올해 춘제 이후 수많은 초고층 건설 프로젝트가 ‘중요 단계’에 도달했다”며 “정책적 지원이 빈번히 이뤄져 사업 부채를 구조조정을 하거나 활성화 효과를 실현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금융 관계부처·기관이 모여 ‘대규모 현금 살포’도 공언했다. 지급준비율을 인하해 1조 위안(약 193조원)에 달하는 장기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 우대 금리도 떨어뜨렸다. 통화·금융정책 패키지로 내수 살리기 총력전에 나서며 경기 띄우기에 나선 것이다. 중국 당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4%로 올해 목표치인 5% 안팎을 상회한다.
반면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0%대다. 지난 14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망치를 1.6%에서 0.8%로 대폭 끌어내렸다. 경기 침체(Recession)의 공포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 18일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 4인이 참가한 첫 TV 토론회의 주제는 경제 분야였다. 구체적 정책보단 네거티브가 앞섰단 평가가 나온다. 다음 달 3일 유권자의 선택을 받는 대통령이 제시할 대한민국 경제 청사진에선 ‘희망의 재시동’을 볼 수 있을까.
이도성([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