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밋빛 미래' 트럼프에…요지부동 푸틴 "근본 원인 제거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2시간여 우크라이나 종전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직접 통화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
“대화의 정신이 훌륭”…뚜렷한 성과 없어
그러면서 “러시아는 이 재앙적 대학살이 끝나면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하고 싶어하고 나도 동의한다”며 “러시아에는 막대한 일자리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있고, 잠재력은 무한하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서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전후 사업에 대한 청사진까지 제시했다.

그러나 “내가 푸틴을 만날 때까지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이 나서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장담했던 것과 달리 이날 회담에선 이렇다 할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
━
“러·우가 협상해야”…교황에 떠넘기기도

기자들에게 ‘푸틴 대통령에게 만남을 제안했느냐’는 질문을 받자 오히려 “무엇에 관해?”라고 반문했다. 재차 ‘우크라이나에 관한 만남’이라고 묻자 “물론 (만나자고) 했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중재 노력을 위한)어떤 선(線·레드라인)은 있다”며 “무언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나는 물러설 것이고, 그들은 계속 (전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더 당당해진 푸틴…“근본 원인 제거해야”

크렘린궁은 트럼프 대통령이 성과로 내세운 각서에 대해서도 “기한은 없다”며 우크라이나와의 대화를 서두를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하며 “이날 통화는 매우 희망적인 대화였다”고 했다.
러시아 매체들은 이날 통화에서 서로를 ‘블라디미르’, ‘도널드’ 등으로 칭했다고 강조하며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11번째 손주 탄생을 축하했고, 두 사람은 대화를 끝내고 싶어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날 대화가 러시아에 유리한 방향으로 흘렀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멋진 신사’라고 칭하며 “푸틴이 ‘러시아는 당신의 아내(멜라니아)를 매우 존중하고, 어쩌면 당신(트럼프)보다 멜라니아를 더 좋아한다’고 말했다”며 푸틴이 자신의 배우자와 가족에 대해 칭찬한 대목을 직접 소개하기도 했다.

━
“트럼프, 휴전 요구에 오히려 멀어져”
워싱턴포스트 역시 “이날 통화로 오히려 러시아가 무조건 휴전을 거부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있을 만큼의 진전을 이루는 데 성공했다”고 했고, CNN은 “푸틴 대통령은 자신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별로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했다.

실제 우새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를 미국의 가장 중요한 무역 및 경제 파트너 중 하나로 보고 있다”며 “그는 자신을 (대러) 제재의 지지자가 아닌 일종의 합의의 지지자라고 말했다”고 했다.
강태화.김자명([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