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칠지도' X선으로 촬영했더니…"내부 상태 양호해 기적적"

日나라국립박물관, 문자 연구도 추진…내달까지 특별전서 공개

'칠지도' X선으로 촬영했더니…"내부 상태 양호해 기적적"
日나라국립박물관, 문자 연구도 추진…내달까지 특별전서 공개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약 1천600년 전 백제가 만들어 일본에 전달한 문화유산 '칠지도'(七支刀)를 X선으로 촬영한 결과 내부가 거의 부식되지 않고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NHK가 나라국립박물관을 인용해 20일 보도했다.
이 박물관은 개관 130주년을 기념해 열고 있는 특별전 '초(超) 국보 - 영원의 아름다움'에서 칠지도를 공개한 것을 계기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고대 철 유물인 칠지도가 매우 양호한 상태로 보존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울러 박물관은 칼에 새겨진 글씨 가운데 녹슬어 잘 보이지 않았던 부분이 선명해졌다고 설명했다.
박물관은 향후 관계 기관과 협의해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꾸려 문자 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노우에 요이치 나라국립박물관장은 "정말로 1천600년 전의 칼인가 싶을 정도로 상태가 매우 좋아 기적적"이라며 "칠지도의 실태에 접근하는 연구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NHK에 말했다.
일본에서 국보로 지정된 칠지도는 '7개의 가지가 달린 칼'을 뜻하는 유물이다.
나라현 덴리시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 칼은 1874년경 존재가 학계에 알려졌다. 칼 앞면과 뒷면에 새긴 글자는 60여 자이며, 일부는 읽어내기 힘든 상태다.
칠지도의 글자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는 여전히 한일 학계에서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사안이어서 추가 분석을 통해 명문(銘文)이 명확히 드러날 경우 한일 고대사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칠지도를 선보이는 전시는 내달 15일까지 개최된다. 박물관 측은 "백제 왕실이 왜(일본)왕을 위해 제작한 것"이라며 "1천600년의 시간를 넘어 한일 교류 실태를 알리는 경이롭고 소중한 유물"이라고 소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