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팬데믹 맞설 협약 채택…"다음 위기엔 세계 함께 지킨다"
"사재기·비축 없다…빈국 위해 WHO에 백신·의약품 20% 할당" 700만명 죽자 3년 진통 끝 합의…미국 탈퇴·제재수단 미비는 해결과제
"사재기·비축 없다…빈국 위해 WHO에 백신·의약품 20% 할당"
700만명 죽자 3년 진통 끝 합의…미국 탈퇴·제재수단 미비는 해결과제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감염병의 대유행이 다시 전 세계를 덮칠 때를 대비하는 '팬데믹 협약'이 20일(현지시간) 정식 채택됐다.
로이터 통신과 dpa 통신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 회원국들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연례 총회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팬데믹 협약 채택에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앞서 19일 이뤄진 투표에선 125개국이 찬성하고, 반대한 나라가 한 곳도 없는 가운데 폴란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러시아, 슬로바키아, 이란 등 10개국만 기권 입장을 밝혔다.
이튿날인 20일은 표결 없이 의장이 전체 회원국 대표들을 상대로 이의 여부를 묻는 방식으로 타결이 시도됐고, 어느 나라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협약이 공식 채택됐다고 dpa는 전했다.
3년간의 진통 끝에 채택된 이번 협약은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이 재발할 경우 보호장비 조달을 상호 조율하고, 사람과 동물을 포괄하는 질병 감시체제를 강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저소득 국가도 백신과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의학 기술을 이전할 길을 열어놓는 등 전 세계 어디에 있더라도 팬데믹에 대항할 의약품과 치료수단, 백신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예컨대 이번 협약에 참여하는 의약품 제조업체는 팬데믹 재발 시 자사가 생산하는 백신과 약, 진단키트의 20%를 WHO에 할당해 빈곤국 국민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게 된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협약은 공공보건과 과학, 다자간 행동의 승리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래의 팬데믹 위협으로부터 세계를 집단으로, 더 잘 지킬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는 순식간에 전 세계로 확산했고, 2023년 5월 WHO가 국제적 공중 보건 비상사태(PHEIC)를 해제할 때까지 700만명 가까운 사람의 목숨을 빼앗았다.
이 과정에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은 백신과 주요 의약품을 사재기하거나 과잉 비축하는 행태를 보였고, 이로 인해 물량 확보에 실패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지 빈국들의 고통이 가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WHO는 코로나19 관련 PHEIC 해제 이후 비슷한 상황이 닥쳤을 때 어떤 규범을 가지고 이에 대응할지에 대한 구체적 논의에 착수했고, 그 결과물이 이번 팬데믹 협약인 셈이다.
보건 분야 전문가들은 가난한 나라 국민들을 외면하지 않는 '더 공정한 공중보건 체제' 마련을 위한 큰 진전이라며 이번 협약 채택을 환영했다.
다만 일각에선 회원국들이 협약을 지키지 않아도 제재할 수단을 명확히 마련하지 않는 등 당초 목표했던 것에 비해선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란 비판도 나온다.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WHO 탈퇴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도 이번 협약이 실효성 없는 '공수표'가 될 것이란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국은 WHO 예산의 5분의 1을 책임져 왔고 지난 2년간 WHO가 모금한 긴급 자금의 34%를 기부했다. 미국은 올해 1월 WHO에 탈퇴를 통보했고, 탈퇴하려면 1년 전 서면 통지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내년 1월 22일 정식으로 탈퇴하게 된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총회에서도 미국 측 대표단은 논의가 시작되자 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병원(病原) 정보 공유 등과 관련한 쟁점을 다루는 부속서 내용과 관련한 추가협상에 회원국들이 합의할 때까지 발효되지 않는다.
협상은 올해 7월 개시될 예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방권 외교 소식통은 타결까지 최장 2년이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황철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