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거리에서] 고향을 묻지 마라?

골드러시로 개발된 캘리포니아 차에는 ‘골든 스테이트,’ 뉴욕은 ‘엠파이어 스테이트’, 아름다운 콜로라도는 ‘컬러풀 콜로라도’라고 적혀있다. 또 독립운동의 진원지였던 뉴햄프셔는 ‘Live free or die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라는 무시무시한 글귀가 적혀있다. 각 주마다 가진 이미지를 극명하게 표시한 낱말들이다. 낭만적인 표현도 있다. 조지아 번호판에는 ‘내 마음의 조지아(Georgia on my mind)’라고 적혀있다. 조사에 따르면 ‘내 마음의 조지아’를 보는 순간 열에 아홉은 조지아에 가고 싶다고 답했다고 한다. 어쨌든 조지아는 슬로건 하나로 가장 기억에 남는 주가 된 셈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한국사회에서 고향을 묻는 것은 금기가 되어 있다. 이력서에도 본적 난을 삭제했다. 얼마 전 한 대형 시중은행은 인사카드에서 출신지·병역 등을 삭제한다고 밝혀 화제가 됐다. 이번 조치를 통해 능력 우선주의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출신지가 능력·성과와 무슨 인과관계가 있는 것일까. 굳이 삭제해야 하는 것일까? 궁금하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