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봉에 균열·깨짐현상 첫 확인…단양 도담상봉이 위험하다

━
봉우리 상부서 ‘절리’ 다수 확인
21일 단양군에 따르면 지난달 24~25일에 수중 조사팀을 꾸려 진행한 도담삼봉 정밀 조사에서 3개 봉우리 중 하나인 첩봉에서 퇴적암반 사이가 벌어지거나 암석이 떨어져 나가 생긴 ‘절리’가 다수 발견됐다. 이 균열 부분은 대각선으로 가로질렀고, 다른 암석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드러났다. 물밑에는 깨진 돌로 보이는 블록 모양의 낙석이 있었다.
그동안 도담삼봉 물 속아래에서 암석 깨짐 현상 등이 확인됐지만, 봉우리 상부에서 깨짐 현상을 공식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충북의 대표 관광 명소인 도담삼봉은 강 위에 원추형 모양의 봉우리 3개가 우뚝 솟은 모양이다. 단양관광공사에서 도담삼봉을 바라볼 때 주봉(중앙)은 장군봉(남편봉), 왼쪽 작은 봉은 첩봉, 오른쪽은 처봉으로 불린다. 수중 조사가 이뤄진 계기는 ‘도담삼봉 아래에 침식이 상당 부분 진행됐다’는 우려가 나와서다.

━
물밑에 낙석 발견 “자연현상 가능성”
조사팀은 첩봉 밑에서 발견한 낙석이 상부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조사에 참여한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위원회 김련 전문위원은 “퇴적층이 시루떡 줄무늬처럼 보이는 걸 층리라 하고, 이곳에 외력이 가해져 암석이 깨지거나 부서지는 것을 절리라 한다”며 “이 같은 불연속면이 첩봉에서 많이 발견됐고 다른 2곳보다 간격이 넓었다. 이는 자연현상(풍화·침식)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수중 침식은 추가 조사 필요”
김 전문위원은 “절리 덩어리가 완전히 떨어져 나갈 가능성은 안정성 평가를 해야만 알 수 있다”며 “암석이 깨진 범위와 양, 수중 침식을 확인하려면 추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최종권([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