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영향 본격화에 20일까지 대미 수출 14.6% 줄어

5월에도 대미(對美)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한국 수출 기업의 피해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대 미국 수출액(잠정치)은 53억 달러로 1년 전(62억 달러)보다 14.6% 줄었다. 대미수출은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 등으로 지난달 6.8% 줄며 석 달 만에 감소했는데, 이런 감소세가 이달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달 1~20일 전체 수출액은 320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327억 달러)보다 2.4% 줄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5억6000만 달러로 역시 2.4% 감소했다. 올해 1∼20일 조업일수는 12.5일로 지난해와 같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달까지 석 달 연속 증가 흐름이었는데, 이런 추세라면 이달 감소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이날 산업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관세 부과에 따라 올해 대미 수출은 9.3~13.1% 감소하고, 이에 따른 GDP(국내총생산)는 0.34~0.46%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들어서도 자동차(승용차)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으로 수출이 많은 자동차 품목의 경우 지난달 전년 동월 대비 19.6% 감소한 29억 달러를 기록하며 부진했는데, 이달에도 6.3% 줄었다. 다른 품목의 실적도 부진하다. 실제 주요 10개 품목 중 반도체·선박을 제외한 8개 품목의 수출이 줄었다. 석유제품(-24.1%)·자동차 부품(-10.7%) 등의 감소 폭이 컸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7.3% 증가하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7%(3.8%포인트 증가)로 높아졌다.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이 부진했지만, 베트남(3.0%)·대만(28.2%)·홍콩(4.5%) 등으로 수출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달 20일까지 수입은 322억 달러로 1년 전(330억 달러)보다 2.5% 줄었다. 이에 무역수지는 2억53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는 정부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 회의에서 관세 피해 기업 등에 28조60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우선 정부는 위기극복 자금으로 16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관세 피해 기업에 낮은 금리로 ▶통상리스크 대응 긴급자금 ▶저리 운영자금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신규 수출시장 진출 기업에는 7조4000억원의 융자·보증을, 첨단사업 설비투자와 주력산업 재편에는 4조9000억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 같은 정책금융 프로그램에는 추경 예산 1조5000억원과 금융기관의 자체 재원 등이 투입된다. 한편 올해 서비스 수출에는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해 최대 12조8000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지난해 지원 실적(11조1000억원)보다 15.9% 증가한 수준이다.
김원([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